chosun_JW_MS_K2WT001_M
이달 발전기금 내주신 분들
- (재)조선대학교치과대학교육문화재단
- (주)진성에스엠알
- 강대승
- 강성권
- 강성승
- 강혁신
- 강희숙
- 고언숙
- 고진석
- 고현혜
- 공과대학 토목공학과장학회
- 공진성
- 공태영
- 구형근
- 권광호
- 권상로
- 권해수
- 기광서
- 기홍상
- 김경수
- 김경원
- 김기영
- 김나래
- 김남권
- 김명식
- 김미경
- 김미송
- 김민철
- 김범철
- 김병록
- 김복희
- 김삼철
- 김상훈
- 김영금-씨엔에스
- 김영미
- 김영지
- 김옥자
- 김윤신
- 김은영
- 김재형
- 김정님
- 김정숙
- 김종구
- 김지현
- 김진원
- 김춘욱
- 김춘환
- 김태중-닥터비성형외과
- 김태훈
- 김택호
- 김혜영
- 나건용
- 노성희
- 노순국
- 노영기
- 류시천
- 명노준
- 모상만
- 문두순
- 민경혜
- 박도헌
- 박상순
- 박성주
- 박소희
- 박영신
- 박정웅
- 박정환
- 박준영
- 박진열-(주)동아하이-택
- 박행자
- 박호신
- 서순복
- 서영환
- 서일
- 석주연
- 송문교
- 송창순
- 송채훈
- 신동민
- 신문자
- 신영숙
- 신종호
- 안용덕
- 안태훈
- 양우승
- 오윤경
- 오지현
- 유영태
- 유정아
- 유진철
- 윤순정
- 윤효진
- 이강희
- 이경숙
- 이계원
- 이계행
- 이금순
- 이기자
- 이민창
- 이상봉
- 이송이
- 이승권
- 이승명
- 이영록
- 이원상
- 이재기
- 이정아
- 이철갑
- 이희숙
- 임미선
- 임병대
- 임병춘
- 임정혜
- 장경현
- 장민성
- 장삼석
- 장상국
- 장숙진
- 장지영
- 전선향
- 정구태
- 정병규
- 정세민
- 정승아
- 정유신
- 정윤태
- 정진
- 정희석
- 조규선
- 조삼래
- 조선대신협
- 조선대학교학군단 59기 동기회
- 조정은
- 조태오
- 조희정
- 지병근
- 진선익
- 최강현-성모편안내과
- 최선
- 최연호
- 최인
- 최호필-나노바이오
- 최홍석
- 최홍엽
- 표화영
- 한순미
- 한지영
- 홍성금
- 홍완기
- 화순성심병원
- 황금추-동광건설주식회사
공지사항
-
-
보건비 · 의료공제비 납부안내
- 작성일
- 2021.03.02
-
[중앙도서관] 2021년도 1학기 중앙도서관 운영 안내 (21.03.02
- 작성일
- 2021.02.25
-
2021학년도 신입생 비대면 입학식 안내
- 작성일
- 2021.02.24
-
2021학년도 학부/대학원 재학생 등록금고지서 및 납입증명서 출력 안내
- 작성일
- 2021.02.17
-
정주영 창업경진대회 참가 공고 안내 새글
- 작성일
- 2021.03.03
-
조선대 생협 서점(구내서점) 위치 및 전화번호
- 작성일
- 2021.03.02
-
[조선대 미술관] 2021학년도 조선대학교 미술관 대관신청 추가공고 안내
- 작성일
- 2021.02.26
-
2021 지역사회문제해결 학생동아리 지원사업 공고
- 작성일
- 2021.02.26
-
-
-
2021년 상반기 채용대비 취업성공 사관학교(취업연계) 5기 모집 안내
- 작성일
- 2021.02.10
-
2021년 상반기 공채대비 한국철도공사 현직자 언택트 멘토링(1:1 멘토링 일정 변경됨)
- 작성일
- 2021.02.09
-
[이벤트]2020 LINC+ 산학협력 성과발표회- 에어팟프로, 커피쿠폰
- 작성일
- 2021.02.02
-
[LINC+사업단] 2020 조선대학교 LINC+ 산학협력 성과발표회
- 작성일
- 2021.02.02
-
[CTL]2021 학습지원 프로그램 수요조사 할 사람, 선착순 500명!
- 작성일
- 2021.01.26
-
[(주)이준시스템] YGOON 교육할인스토어 이용 안내
- 작성일
- 2021.01.15
-
[CTL] 2020 동계 성적경고 학생 대상 집중 워크숍 포맷완료
- 작성일
- 2021.01.11
-
2020 조선대학교 대학혁신 성과포럼 개최 안내
- 작성일
- 2020.12.23
-
-
-
[조선대학교 정규직원] 2020학년도 제2차 정규직원 신규채용 공고
- 작성일
- 2021.02.19
-
기계공학과 연구조교 모집 새글
- 작성일
- 2021.03.03
-
[조선대병원] 환자이송원(계약직) 채용공고_수시접수 (채용인원변경) 새글
- 작성일
- 2021.03.03
-
미술체육대학 행정조교 모집 안내
- 작성일
- 2021.02.26
-
광주광역시 감염병관리지원단 직원 채용 공고
- 작성일
- 2021.02.24
-
사회과학연구원 연구조교 모집
- 작성일
- 2021.02.24
-
유니트건축기초연구센터 한시계약직 채용 공고
- 작성일
- 2021.02.23
-
[조선대병원] 코로나19 관련 예방접종센터 행정지원인력(계약직) 채용공고_수시접수
- 작성일
- 2021.02.22
-
-
-
대의동 72번지 외 1개 필지 주차장 부지 임대차계약 입찰공고
- 작성일
- 2021.03.03
-
(재공고) 교내 트라비스 승강기 2대 자체점검 및 유지관리 용역
- 작성일
- 2021.03.02
-
교내 승강기(현대 엘리베이터) 자체점검 및 유지관리 용역 입찰 공고
- 작성일
- 2021.02.26
-
교내 승강기(오티스 엘리베이터) 자체점검 및 유지관리 용역 입찰 공고
- 작성일
- 2021.02.26
-
2021학년도 학교경영자배상책임보험 용역 입찰 공고
- 작성일
- 2021.02.26
-
교내 트라비스 승강기 2대 자체점검 및 유지관리 용역
- 작성일
- 2021.02.24
-
교내 티센크루프 승강기 4대 자체점검 및 유지관리 용역
- 작성일
- 2021.02.24
-
조선대학교 전자문서시스템 재구축 및 기록관리시스템 구축 용역 입찰 공고
- 작성일
- 2021.02.19
-
학사공지
-
-
2021-1학기 사회봉사 교과목 이론교육 온라인 강의 변경 및 수강안내
- 작성일
- 2021.02.25
-
2021학년도 제1학기 폐강기준인원 및 최종폐강 확정일 안내
- 작성일
- 2021.02.24
-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2021-1학기 수업운영 방식 변경 안내(1차)
- 작성일
- 2021.02.16
-
2021학년도 1학기 학부 및 대학원 재학생 등록금 납부 안내(추가등록 기간)
- 작성일
- 2021.02.10
-
2020학년도 전기 졸업대상자 졸업연장 및 학사학위취득유예(졸업유보) 신청 안내
- 작성일
- 2021.02.10
-
2021학년도 1학기 수강신청 안내
- 작성일
- 2021.02.09
-
2021학년도 1학기 재입학 허가자 공고
- 작성일
- 2021.02.05
-
학적변동관련양식 모음
- 작성일
- 2018.04.05
-
-
-
[장학안내] 2021학년도 상반기 재단법인 울산인재평생교육진흥원 장학생 선발계획 공고 안내
- 작성일
- 2021.03.03
-
2021학년도 1학기 가족장학금 신규 신청 안내
- 작성일
- 2021.03.02
-
[장학안내] 2021년 1학기 농어촌희망재단 청년창업농육성장학생 추가선발 안내
- 작성일
- 2021.02.26
-
[장학안내] 2021년 안산시 대학생 본인부담 등록금 반값 지원 공고 안내
- 작성일
- 2021.02.25
-
[장학안내] 2021학년도 한국선원복지고용센터 선원가족 장학생 선발 공고 안내
- 작성일
- 2021.02.25
-
2021학년도 (재)논산시장학회 장학생 선발 공고 안내
- 작성일
- 2021.02.18
-
2021학년도 제2회 독립유공자 후손 장학사업 공고 안내
- 작성일
- 2021.02.17
-
2020-2학기 교내 학과 교수 및 취업학생처 추천 장학금 지급 안내
- 작성일
- 2021.02.17
-
-
-
2021-1 외국인 유학생 멘토링 프로그램 모집 공고 새글
- 작성일
- 2021.03.03
-
2021 일본 나가사키외국어대학 온라인 수업 안내 새글
- 작성일
- 2021.03.02
-
2021년 한국 중국어과 대학생 중국 어학연수 대상자 선발 안내
- 작성일
- 2021.02.08
-
2021-2022 라트비아 정부초청 장학생 모집 안내
- 작성일
- 2021.01.28
-
2021 대만장학금 장학생 선발 안내
- 작성일
- 2021.01.27
-
[2021 다문화가족 활용 수출기업 통번역지원] 통번역요원 모집 새글
- 작성일
- 2021.03.03
-
「제2기 전라남도 도비유학생」선발 안내
- 작성일
- 2021.02.22
-
2021년 한국 이공계 대학원생 캐나다 연수사업 공모 안내
- 작성일
- 2021.02.17
-
-
-
2021학년도 편입생 추가모집 모집인원 변경 공고
- 작성일
- 2021.02.09
-
2021학년도 편입생 추가 모집요강
- 작성일
- 2021.02.05
-
2021학년도 정시모집 가군, 나군 실기고사 안내
- 작성일
- 2021.01.14
-
2021학년도 편입생모집 경쟁률
- 작성일
- 2021.01.13
-
2021학년도 정시모집 지원현황(경쟁률) 공고
- 작성일
- 2021.01.13
-
2021학년도 정시모집 농어촌학생전 지원자격 심사신청서
- 작성일
- 2021.01.08
-
2021학년도 정시모집 모집인원 변경 공고
- 작성일
- 2021.01.06
-
[진학부장용] 수시모집 최종합격 고교별 합격자 조회
- 작성일
- 2020.12.29
-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2021년 TIPA 상반기(1차) 신규직원 채용 공고
- 작성일
- 2021.03.02
-
[전남경제연구원] 신입/경력사원 모집
- 작성일
- 2021.03.02
-
에이엔아이(A&I) 웹프리렌서 채용공고
- 작성일
- 2021.03.02
-
[LIG넥스원} 2021년 상반기 신입/경력 공개채용
- 작성일
- 2021.03.02
-
[한국남동발전] 2021년 상반기 대졸수준 신입 및 경력사원 채용
- 작성일
- 2021.02.26
-
2021년 대한석탄공사 신입사원 채용 공고
- 작성일
- 2021.02.26
-
강릉원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직원(전산,기간제 계약직) 채용 공고
- 작성일
- 2021.02.26
-
(재)광주여성가족재단 광주형 산후관리 공공서비스 공무직 채용 공고
- 작성일
- 2021.02.26
-
학사일정
-
3.1 삼일절(1학기 개시)
2021.03.01(Mon) ~ 2021.03.01(Mon)
-
1학기 개강, 입학식
2021.03.02(Tue) ~ 2021.03.02(Tue)
-
수강신청 정정 및 취소
2021.03.02(Tue) ~ 2021.03.06(Sat)
-
수업일수 1/4선
2021.03.26(Fri) ~ 2021.03.26(Fri)
-
보도자료
-
조선대학교 홍보대사에게 물어보세요! 2021학년도 1학기 대면수업을 운영하는 조선대학교가 재학생 및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캠퍼스를 안내하기 위해 홍보대사를 곳곳에 배치했다. 이에 더해 조선대학교는 입학식 대신 신입생 입학환영 영상을 공식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하고 댓글 이벤트를 진행하여 신입생의 호응을 얻고 있다.
2021.03.03
-
조선대학교 대학원 김용우 학생, 2021년 대한금속재료학회 장학생 선정자원처리 및 재활용 분야 우수인재 조선대학교 대학원 첨단소재공학과 석사과정에 재학 중인 김용우(재료공학과 김선중 교수 연구실) 대학원생이 최근 2021년도 1학기 대한금속재료학회 비철금속분과 장학생으로 선정되었다. 김용우 학생은 비철금속 분야에서 탁월한 학업 성취도 및 연구결과를 보여
2021.03.03
-
조선대학교, 삼성꿈장학재단 2021년 배움터 교육지원사업 5년 연속 선정박영신 교수 지역사회 교육공헌활동 조선대학교가 삼성꿈장학재단이 지원하는 2021 배움터 교육지원사업 에 5년 연속 선정되었다. 3일 조선대학교에 따르면 조선대학교는 최근 박영신 교수(사범대학 지구과학교육과)가 총괄 운영하는 배움터 교육복지사업 을 2017년 최초 선정된
2021.03.03
-
조선대학교 기계공학과, 기업이 직접 뽑은 최우수 학과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주관 2020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최근 조선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과가 기업들이 직접 우수 학과를 선정하는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2020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결과 에서 최우수 학과로 선정됐다.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는 기업들이 직접 우수 학과를 선정하는 평가다. 건축(시공)
2021.03.02
-
조선대학교, '2020 지역기업-청년 희망이음 프로젝트 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 수상 조선대학교 재학생들이 최근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한 '2020 지역기업-청년 희망이음 프로젝트 경진대회에서 기업애로해결 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금상, 전국 2위)을 수상했다. '희망이음 프로젝트'는 2012년부터 산업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및 5개 권역별 주관기관이 참여해 지
2021.03.02
-
-
웹진
-
조선대학교'2020 대한민국 사립대학 사회책임지수' 호남권 1위!조선대학교가 '2020 대한민국 사립대학 사회책임지수'에서호남(광주 전남 북) 제주권 사립대학 가운데 1위를 기록했습니다.'2020 대한민국 사립대학 사회책임지수'는 르몽드디플로마티크와 한국CSR연구소가공동으로 기획 시행한 사립대학 종합평가 지수입니다.전국 151개 사립대학을 대상으로 한 이번 조사는학생과 교수, 교직원뿐만 아니라 대학이 지역사회를 위한 사회적 기관이라는 인식을 바탕으로노동,학생,인권,지역사회,환경,공정성,운영 등 7개 부문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졌습니다.조선대학교는 국내 유일의 민립대학으로서 앞으로도 대학이 지닌 사회적 책무를 성실히 이행해 나가겠습니다.
2021.02.05
-
사진으로 돌아보는 2020년 조선대학교2020년 한 해 동안 조선대학교에 보내주신 성원에 깊이 감사드립니다.조선대학교는 지난해 코로나19 감염병으로부터 학생과 교직원들을안전하게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했습니다.새해에도 안전한 캠퍼스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다사다난했던 한 해를 뒤로하고 2021년 신축년(辛丑年)의 해가 밝았습니다.2020년 조선대학교의 모습을 사진으로 돌아봅니다.ㅇ 코로나19 방역조선대학교는 지난 1월부터 학내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해 코로나19 대응본부 를 구성하였으며, 확산 상황에 따른 방역 방침을 마련하고 신속하게 대응해 나가고 있습니다.ㅇ 5 18광주민주화운동 40주년 기념상지대학교와 사립대학 공공성 강화 교류 협정지난해 6월 1일 정대화 총장을 비롯해 상지대학교 교무위원 23명이 광주를 방문해 조선대학교와 '사립대학 공공성 강화'를 위한 교류 협정을 맺었습니다. 또한 상지대 교무위원들은 5 18광주민주화운동 40주년을 기념하여 국립5 18민주묘지를 방문해 민주열사들을 추모했습니다.ㅇ 제3기 정이사 체제 출범2020년 7월 1일 학교법인조선대학교 제3기 정이사체제가 본격 시작되었습니다. 3기 정이사의 임기는3년이며 2023년 6월 30일까지 활동하게 됩니다.ㅇ 교직원 학생 수해 봉사활동조선대학교 교직원과 학생들은 지난 8월 많은 비로 큰 피해를 입은 곡성군 금예마을을 방문하여 수해복구를 도왔습니다.ㅇ 비대면 교육의 질 향상 교육혁신 조선대학교는 비대면 강의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수법, 효과적인 비대면 학습 지원 및 취업 지원방법을 연구하고 실행해 왔습니다.ㅇ 코로나19 극복 지원 학생 장학금 전달코로나19로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위해 교직원이 십시일반 장학금을 마련해 전달했습니다.
2021.02.05
-
조선대학교 2020년 주요 수주과제 (2020. 03. 01. ~ 2020. 12. 24. )조선대학교 2020년 교외사업비 657억여 원 수주!조선대학교의 돋보이는 연구 경쟁력조선대학교는 2020년 3월 1일부터 12월 24일까지 교외사업비로 총 657억여 원을 수주하는 성과를 달성했습니다.조선대학교는 탄탄한 연구경쟁력을 바탕으로 산학협력에 매진하여 지역혁신을 이끌어 가겠습니다.사 업 명 - 4단계 두뇌한국(BK)21 사업_혁신인재 양성사업지원기관 - 교육부(한국연구재단)과 제 명 - 노인성질환 제어기술 교육연구단사업기간 - 2020.09.01.~2027.08.31.총사업비(원) - 2,646,000,000책 임 자 - 박윤경 교수(의생명과학과)사 업 명 - 4단계 두뇌한국(BK)21 사업_미래인재 양성사업지원기관 - 교육부(한국연구재단)과 제 명 - 인공지능기반 초연결사회 IT융합 인력양성팀사업기간 - 2020.09.01.~2027.08.31.총사업비(원) - 1,951,880,000책 임 자 - 김판구 교수(컴퓨터공학과)사 업 명 - 4단계 두뇌한국(BK)21 사업_미래인재 양성사업지원기관 - 교육부(한국연구재단)과 제 명 - 스마트 기계부품 지역 미래전문인력양성팀사업기간 - 2020.09.01.~2027.08.31.총사업비(원) - 1,849,680,000책 임 자 - 안동규 교수(기계공학과)사 업 명 - 4단계 두뇌한국(BK)21 사업_미래인재 양성사업지원기관 - 산업통상자원부(한국산업기술진흥원)과 제 명 - 미래융합 ICT AI 교육연구팀사업기간 - 2020.09.01.~2027.08.31.총사업비(원) - 1,477,910,000책 임 자 - 최동유 교수(정보통신공학부)사 업 명 - 지역산업거점기관지원사업지원기관 - 교육부(한국연구재단)과 제 명 - 생체의료산업 보유기반 연계 고도화사업사업기간 - 2020.04.01.~2022.12.31.총사업비(원) - 2,369,334,000책 임 자 - 이숙영 교수(첨단산학캠퍼스)사 업 명 - 뿌리산업전문기술인력양성사업지원기관 - 산업통상자원부(한국산업기술진흥원)과 제 명 - 뿌리 스마트융합 특성화 인력양성사업사업기간 - 2020.03.01.~2024.02.29.총사업비(원) - 1,483,448,000책 임 자 - 방희선 교수(용접 접합과학공학과)사 업 명 - 인공지능중심 산업융합 집적단지 조성사업(R D) 산업융합형 AI 연구개발지원기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산업진흥원)과 제 명 - AI 기반 다중센싱을 이용한 Brain-Body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사업기간 - 2020.04.01.~2024.12.31.총사업비(원) - 2,165,850,000책 임 자 - 김윤태 교수(전자공학부)사 업 명 - 인공지능중심 산업융합 집적단지 조성사업(R D) 산업융합형 AI 연구개발지원기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산업진흥원)과 제 명 - 노화 질환 예측 및 진단을 위한 유전체 기반 AI 시스템 개발사업기간 - 2020.04.01.~2024.12.31.총사업비(원) - 1,050,000,000책 임 자 - 이건호 교수(의생명과학과)사 업 명 - 인공지능중심 산업융합 집적단지 조성사업(R D) 산업융합형 AI 연구개발지원기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산업진흥원)과 제 명 - 의료 데이터 프라이버시 보존을 위한 분산 환경에서의 연합 AI 컴퓨팅 모델 개발사업기간 - 2020.04.01.~2024.12.31.총사업비(원) - 410,600,000책 임 자 - 정재효 연구교수(IT연구소)사 업 명 -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 사업지원기관 - 행정안전부(한국정보화진흥원)과 제 명 - 치매 고위험군 라이프로그사업기간 - 2020.09.16.~2020.12.31.총사업비(원) - 990,000,000책 임 자 - 김정수 교수(의생명과학과)사 업 명 - 연구용역과제지원기관 - 한국수력원자력(주)과 제 명 - 한빛본부 주변 환경방사능 조사용역사업기간 - 2020.05.01.~2023.04.30.총사업비(원) - 954,599,000책 임 자 - 이경진 교수(원자력공학과)사 업 명 - 스페이스챌린지사업지원기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과 제 명 - 초탄성 형상기억합금 기반 안테나 시스템 연구사업기간 - 2020.06.01.~2024.02.28.총사업비(원) - 822,501,000책 임 자 - 오현웅 교수(스마트이동체융합시스템공학부)사 업 명 - 감염병관리지원단사업지원기관 - 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과 제 명 - 광주광역시 감염병관리지원단 설치 운영 사업사업기간 - 2020.05.01.~2022.04.30.총사업비(원) - 800,000,000책 임 자 - 류소연 교수(의예과)사 업 명 -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지원기관 - 교육부(한국연구재단)과 제 명 - 코퍼스와 증강현실 기반 농인 초 중등 언어 교과목 교재 개발: 한국어와 영어 교과 중심으로사업기간 - 2020.09.01.~2023.08.31.총사업비(원) - 780,000,000책 임 자 - 최영주 교수(영어영문학과)사 업 명 - 폭염 등 기후재난 대응기술개발사업지원기관 - 행정안전부(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과 제 명 - 폭염 저감 요소 기술별 효율성 분석 및 운영 가이드라인 개발사업기간 - 2020.04.01.~2023.12.31.총사업비(원) - 760,000,000책 임 자 - 황태연 교수(건축공학과)사 업 명 - 고교교육정상화 기여대학 지원사업지원기관 - 한국대학교육협의회과 제 명 - 고교교육정상화 기여대학 지원사업사업기간 - 2020.03.01.~2022.02.28.(1+1)총사업비(원) - 2,384,000,000원 (2020년 사업비 1,192,000,000원)책 임 자 - 정윤태 입학처장 주관부서 - 입학관리팀사 업 명 - 지역선도대학육성사업지원기관 - 교육부과 제 명 - 지역선도대학육성사업사업기간 - 2019.07.~2024.02.(2+3년) 2차년도(2020.05.~)부터 참여총사업비(원) - 440,000,000원 (2020년 사업비 130백만원)책 임 자 - 이민창 기획조정실장 주관부서 - 전략기획팀사 업 명 - 2020년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운영사업지원기관 - 국가평생교육진흥원과 제 명 - 2020년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운영사업사업기간 - 협약체결일(2020.07.01.)~2020.12.31.총사업비(원) - 193,440,000원책 임 자 - 이대용 교육혁신원장 주관부서 - E-Learning지원팀사 업 명 - 2020년도 해외취업연수사업지원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과 제 명 - K-Move스쿨 연수과정 운영사업기간 - 2020.07.06.~2021.01.05.총사업비(원) - 133,877,000원책 임 자 - 윤오남 취업학생처장 주관부서 - 취업전략팀사 업 명 -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지원기관 - 교육부과 제 명 - 광주전남 지역혁신플랫폼사업기간 - 2020.08.01.~2021.05.31.총사업비(원) - 2,922,000,000원책 임 자 - 조훈 지역혁신플랫폼지원센터장 주관부서 - 지역혁신플랫폼지원센터사 업 명 - 대학 비대면 교육 긴급지원사업지원기관 - 교육부과 제 명 - 대학 비대면 교육 긴급지원사업사업기간 - 2020.10.22.~2021.02.28.총사업비(원) - 1,517,000,000원책 임 자 - 이민창 기획조정실장 (대학혁신사업지원센터장) 주관부서 - 전략기획팀 (대학혁신사업지원센터)
2021.02.05
-
2021년 조선대학교 달력 발간 2021년 조선대학교 달력이 발간되었습니다.이번 달력에는 조선대학교의 상징인 본관 건물을 미술체육대학 만화 애니메이션학과 학부 대학원생 10명이 같은 공간, 다른 시각 을 주제로 표현한 일러스트 작품을 담았습니다.조선대학교 학생들이 직접 그린 개성 넘치는 작품을 2021년 달력에서 감상하세요! 1월김서옹픽셀조선 2월 곽하은 숲속 학교 3월정예솔꽃밭 4월 정예솔 동방조선기 5월다니엘라다마스크 조선 6월 구맹맹 딸기 걸 여행기 7월정배영WHITE 8월 손정 아름다운 학교 9월나몬미술대학교 10월 정형은 한밤의 축제 11월김수빈1946 12월 정예솔 겨울 성
2021.02.05
-
기획 인터뷰 전 세계가 탐내는 움직이는 화폭 미디어아트 새로운 세계 정립 미디어아티스트 이이남 작가 | 미술체육대학 88학번 동문 과거와 현재, 동양과 서양 넘나들며 눈길을 사로잡는 독특한 창작 기법 세계 최초 비정형 미디어아트 광주폴리Ⅳ 무등의 빛 호응 최근 이이남 스튜디오 오픈 카페 전시공간 작업공간까지 미디어아트 알릴 복합문화공간 탄생 우리나라에서 유명한 미디어아티스트를 꼽자면 이이남 작가를 빼놓을 수 없다.조선대학교 미술대학(미술체육대학) 88학번 동문인 이이남 작가는고전 작품과 현대미술의 만남, 동서양의 절묘한 조화를 미디어 화폭 에 담고 있다.그의 작품은 전 세계 전시에서 모시지 못해 안달이다.코로나19가 덮친 올해 들어서도 4차례나 중국 출장을 다녀오느라 수차례 자가격리를 하고 진단 검사를 받았을 정도다.요즘 말로 누구보다 핫(hot) 한 예술가, 이이남 작가를 만났다.광주를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는 그는최근 양림동에 복합 문화공간인 이이남 스튜디오 를 오픈하느라 더욱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었다. 세계적인 미디어아티스트를 만나뵙게 되어 영광이다. 양림동에 스튜디오를 오픈했다는 소리를 들었는데, 어떤 공간인지? 양림동에 창작스튜디오와 미디어아트 뮤지엄, 카페로 구성된 복합 스튜디오를 열었다. 카페에서 티타임을 가지면서 미디어아트를 즐 길 수있는 공간이다. 창작스튜디오는 작업공간이고, 미디어아트 뮤 지엄은 작품 전시 공간이다. 외부에는 LED 미디어월을 설치해 야외 에서도 미디어아트를 경험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전시뿐만 아니라 세미나, 공연,문화예술 프로그램 등도 다양하게 운영해 볼 생각이다. 광주 톨게이트에 세계 최초 비정형 미디어아트 작품인 광주폴리Ⅳ 무등의 빛 을 제작한 것도 화제가 되고 있는데 광주시가 외지인들이 광주에 들어서면서 바로 광주다움 을 느낄 수 있도록 광주 폴리 의 하나로 설치할 상징 조형물을 지난해 공모했다. 무등의 빛 은 김민국 ㈜나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대표와 협업한 작품으로 2020년 5월경 완공됐다. 의향, 예향, 미향 등 3향(三鄕)이 빛을통해 세계 공동체로 뻗어 나가기를 바라는 소망을 담았다. 무등산 의 사계와 낮과 밤, 광주의 빛 등 광주다움 을 상징하는 미디어아트를 발광다이오드(LED) 미디어파사드를 통해 선보였다. 작품에 몰두해야 하는 예술가가 자신의 작업공간을 개방하는 것이 쉽지 않았을 것 같다. 스튜디오를 오픈한 이유는 무엇인지? 광주가 유네스코 미디어창의도시로 선정됐으나 아직까지도 일반 시민들에게 미디어아트는 생소한 장르다. 작업공간을 정비하면서 미디어아트를 대중화할 수 있는 문화공간을 만들어 보자는 계획을 세웠다. 그런데 전시공간을 만들어도 공간이 남았다. 함께 일하는 직원 한 명이 카페까지 해보자고 제안했다. 반신반의했으나 직원이 커피를 배우겠다고선언하면서 카페까지 차리게 됐다. 지금은 티타 임을 가지면서 여유롭게 작품을 감상하는 시민들을 보며 잘했다는 생각이 든다. 광주 톨게이트에 설치된 미디어아트 작품 '무등의 빛' (사진: 광주광역시 제공) 전 세계를 누비며 많은 전시를 했을 것 같다. 가장 기억에 남는 전시가 무엇이었는지 궁금하다. 2012년 아날로그 방송이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되는 역사적인 순간을 기념하는 굿나잇 아날로그, 굿모닝 디지털 전시를 광주시립미술관 상 록전시관에서 개최했다. 전시에는 백남준 작가의 계보를 잇는 비디오 아트와 마르셀 뒤샹에서 기원한 개념아트 작품 40여 점을 선보였다. 그때 전시를 워낙 힘들게 준비해서 개막식 때 울컥했다. 준비할 때는 힘들었지만 호응을 받아서 애증 의 전시로 기억된다. 가장 좋아하는 작품은? 가장 좋아하는 작품은 피에타 다. 대학에서 조각을 전공(조소과)했는 데, 이 작품이 전공을 살린 작품이지 않을까 싶다. 어느 날 미켈란젤로 의 피에타상을 보게 됐는데 그때 스친 영감을 표현했다. 예수 그리스도 를 성모 마리아의 품에서 떼어 버린 것이다. 단순히 떼었다기보다 예수 는 성모 마리아의 품에서 한참 떨어져 하늘로 승천한다. 그 광경을 환 한 빛이 감싸고 있다. 대학시절의 이이남은 어떤 학생이었나? 모범생이었다. 학점 평점이 4점을 넘었고 미대를 수석으로 졸업을 했 다. 동선이 간단했다. 작업실-도서관-강의실-집. 같은 학번 동기 5명 과 무리지어 다니면서 선의의 경쟁을 한 것이 좋은 성적을 유지할 수 있었던 비결이었다. 수업도 참 좋아했다. 현대조각론의 신현중 교수님 의 수업을 특히 경청했다. 신 교수님은 당시 척박했던 지역의 현대미 술 환경을 크게 개선한 분이다. 교수님 말씀대로 메모하는 습관도 만 들었다. 대학시절에 쌓은 자산은 지금도 영감을 얻고 창작을 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제2의 백남준이라 불리는데 과찬이다. 백 선생님의 책을 읽고 전시를 찾아다니면서 많이 배웠다. 기계를 예술로 승화한다는 것, 그 자체가 인간이 기계의 노예가 되는 게 아니라 기계를 지배한 것이다. 미래의 예술을 예견하고 몸소 실천 한 백 선생님의 작품과 가치관을 존경했다. 지금의 작품세계에도 영향 을 많이 끼쳤다. 앞으로의 계획은? 코로나19로 인해 큰 전시들이 취소됐다. 코로나19가 예술계에도 변화 의 바람을 크게 만들 것 같다. 작품활동을 하면서 변화된 세계에서 관 객들을 어떻게 만나야 할지 고민하는 시간도 가져야 할 것 같다. 그리 고 이이남 스튜디오 에서 전시뿐만 아니라 세미나, 공연, 문화예술프 로그램 등을 다양하게 운영하면서 지역의 문화자원 활성화에 기여하 려고 한다.
2021.02.05
-
다양한 경험과 감성 녹여낸 음악 만들고파 신인 작곡가의 당찬 행보 사범대학 음악교육과 19학번 이다희 네이버 주관 공모전 231대 1의 경쟁률 뚫고우승 영예드라마 녹두전 인기 OST 음원 발매 ―――――――――――――――――――――――――――――――――――――――――――――――――――――――광주-서울 오가며 유명 작곡가 가수와 작곡 작업 완성도 높은 아티스트로 거듭나겠다 포부 밝혀 별빛 가득 밤하늘이 그대의 눈을 닮아 이렇게 반짝거릴까. 인기 드라마 녹두전 의 배경음악(OST)으로 큰 사랑을 받은 햇살 바람 별빛 그대 의 한 구절이다. 이 곡은 사범대학 음악교육과에 재학 중인 이다희 학생이 2019년 네이버 그라폴리오가 국립국악원과 함께 개최한 조선로코 녹두전 OST 공모전 에서 우승을 차지한 노래이다. 231대 1의 경쟁률을 뚫고 네이버 공모전에 당선되어 20세에 신인 작곡가로 이름을 올린 이다희 학생을 만났다. 곧 3학년이 되는 지금 서울과 광주를 오가며 부지런히 작곡활동을 펼치고 있다. 가수 박재정 씨가 부른 햇살 바람 별빛 그대 를 자주 듣고 있다. 신인작곡가답지 않은 편곡 능력이 돋보이는 곡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어떻게 탄생한 곡인지? 2019년 드라마로 만들어진 녹두전 은 원래 17세기 조선, 장가를 가기 싫은 사내와 기생이 되기 싫은 처자의 엇갈리고 이어지는 연애담을 그린네이버 웹툰이다. 녹두전 을 보고 남자주인공 시점에서 느낀 애틋 하고 순수한 첫사랑 감정을 가사에 담았다. 기타 선율에 스트링과 국악 기 대금, 아쟁, 가야금을 가미해 미디엄 템포의 발라드 곡을 만들었다. 공모전 당선 이후 서울을 오가며 다른 작곡가들과 작곡활동을 계속 하고 있다고 들었다. 저작권 협회에 작곡가로 등록하면서 작곡가 팀에서 함께 일하자는 연락이 왔다. 더킹: 영원의 군주 OST에 참여하였고, 드라마 앨리스 OST인 임한별 별 이라는 곡의 현악연주 편곡에 참여했다. 최근에는 가수 거미, 하현우, 소향 씨의 음원 작곡에도 참여했다. 네이버 그라폴리오 공모전은 처음 참여했나? 공모전에 당선될 당시 20세인데, 231대 1이라는 쟁쟁한 경쟁률을 뚫고 1위의 영예를 안았다. 2019년 1월부터 학원을 다니면서 작곡 공부를 시작했다. 그라폴리오 작곡 공모전은 2019년 4월과 6월, 10월 3번을 참가했다. 처음 참여했 을 때는 성과가 없었지만 두 번째 국악곡으로 10위권 안에 들었고, 세 번째에 큰 상을 받게 됐다. 공모전에 참가할 때마다 스스로 성장하고 있음을 느낀다. 음원을 내면서 저작권 협회에 작곡가로 등록됐다. 작곡가로서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는데 대학생활이 힘에 부치지는 않나 사실 작곡 작업으로 힘들어서 한때 학교를 그만둘까 생각했다. 그런 데 교수님이 대학을 다녔으면 좋겠다고 말씀하셨다. 지금은 학교생활 에 만족한다. 학과에서는 음악 교육자적 측면뿐만 아니라 예술가로서 갖춰야 할 재능과 소양도 키워주고 있다. 대중음악을 하면서 이론적인 배경지식이 부족할 수 있는데, 그 부분을 채워주는 것이 학교수업이다. 음악의 역사 등의 수업을 듣는 게 재밌다. 또 좋은 음악을 만들려면 다 양한 경험을 해야 하는데, 인문학 수업에서 배우는 스토리텔링 등이 창작활동에 도움이 되는 것 같다. 앞으로의 계획은 무엇인지? 조선대학교를 졸업하고 작곡 관련 학교에 입학해 작곡을 더 심층적으로 배워보고 싶다. 작곡가로서 커리어가 시작된 지 얼마 되지 않았다. 열심히 노력해 20대가 끝날 무렵에는 한층 완성도가 높아진 아티스트로 인정받고 싶다.
2021.02.04
-
자율주행차 기반 미래 모빌리티 광주에서 꽃피우겠다조선대학교 퓨처모빌리티랩 (future mobility lab) 미래 도심 모빌리티 서비스에 있어 자율주행은 게임 체인저입니다.전국 최초 무인저속특장차 규제자유특구로 선정된 광주에서 유능한 미래 자율주행 엔지니어를 배출하고 싶습니다. 자율주행기술을 연구하는 조선대학교 퓨처모빌리티랩이 주목을 받고 있다.지난 10월 31일 대구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부 주최 2020 대학생 자율주행 경진대회 에 호남권 대학 중 유일하게 참가해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기 때문이다. 학부연구생 단 2명으로 첫 출전 수상 거머쥐어 전기차 연구원 출신 자율주행 연구는 밑바닥부터 퓨처모빌리티랩의 연구인력은 지도교수인 스마트 이동체융합시스템공학부 성우석 교수와 학부연구생 (기계시스템미래자동차공학부 4학년 윤준용, 3학년 정진섭)이 고작. 하지만 인원이 적다고 기술력이 부족한 것은 아니다. 퓨처모빌리티랩은 총 15팀이 참가한 자율주행차 경진대회에서 카이스트, 포스텍 등 유수의연구대학 참가팀을 제치고 지능형 자동차부품진흥원장상(5위)을 차지했다. 현대자동차에서 10년간 전기차를 개발한 성 교수는 4년 전 조선대학교에 부임하여 자율주행 연구에 매진해왔다. 성 교수는 전기차와 자율주행차는 미래 모빌리티의 두 꼭지이긴 하지만, 이들 간에 기술적 접점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면서 밑바닥부터 연구를 새로이 시작한 셈 이라고 이야기를 열었다. 스마트폰에 안드로이드가 있듯,로봇에는 ROS라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플랫폼이있다. 하드웨어의 모듈화,소프트웨어의 개방성, 그리고 커뮤니티의 자발적 참여를 특징으로 하는 오픈소스 플랫폼 덕분에 자율주행 연구의 늦깎이 시작이 가능했다. 성 교수는 오픈소스 플랫폼 덕분에 마음만 먹으면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세상 이라며 무엇보다 소수 정예 학부 연구생들이 열정과 끈기를 가지고 몰입한 덕분에 자율주행차 개발이 가능했다 고 설명했다. 대학생 자율주행 경진대회호남권 대학 유일 참가 무인저속특장차 규제자유특구 광주시 선정에 기대 올해로 5회째를 맞이하는 대학생 자율주행차 대회는 미래 자율주행 모빌리티 서비스 중의 하나인 로보택시의 개념을 V2X 통신 기반의 도로 환경에서 구현한 것으로, 자율주행차가 가상의 승객을 호출지에서 승차시킨 후 목적지에 하차시키는 전 과정을 평가했다. 퓨처모빌리티랩은 광주, 전남, 전북권 대학 중에서 유일하게 이번 대회에 참여했다. 성 교수는 대회 중반까지 2~3위권 경쟁을 하다가 현재까지도 원인을 알 수 없는 차량 시스템 오류로 5위까지 밀리게 됐다 고 아쉬움을 드러내면서도 이번 대회 출전을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고, 자율주행시스템을 개량하여 다음 대회에 도전하겠다 는 포부를 밝혔다. 퓨처모빌리티랩의 다음 행보는 전국 6개 자율주행차 시범운행지구로 향해 있다. 최근 광주는 무인저속특장차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되어, 전국 최초로 운전자가 없는 완전한 무인차의 도로주행이 가능해진다. 당장 내년부터 평동산단을 중심으로 한 규제자유특구 에서 무인저속특장차(무인노면청소차량, 무인폐기물 수거차량 등)의 실증을 진행한다.성 교수는 도로 및 대기 환경에 대한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공공정보로 제공하는 무인공공정보수집차량용 자주행시스템 (소프트웨어 풀스택)개발에 참여하고 있다.성 교수는 우리 지역에 미래 도심 모빌리티 서비스의 테스트 베드가 조성되어 앞으로가 더욱 기대된다 면서 퓨처모빌리티랩이 자율주행 엔지니어를 꿈꾸는 학생들의 생애 첫 샌드박스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 고 말했다.
2021.02.04
-
취업 성공 소식 서로 격려하며 외로운 싸움 이겨내 이정서 경제학과 | 2020년 하반기 광주은행취업 준비는 누구도 알아주지 않는 외로운 혼자만의 싸움이라고 생각합니다.저는 취업 준비를 하며 외로움과 고립감을 이겨내고자 경상대학교의 백악관 시설을 자주 이용했습니다.경상대학교 백악관에 입실하면 깔끔한 시설과 교재비, 지원비, 독서실 지원 등을 받을 수 있습니다.무엇보다 같이 고생하는 취준생끼리 정보를 공유하고 서로 격려하는 분위기 속에서 구직에집중할 수 있었습니다. 저는 백악관 입실 당시졸업을 한 상태였지만, 대학의 배려로 다양한 혜택을 받고7월 말에 입실해 11월 10일에 취업에 성공할 수 있었습니다.서류전형의 자기소개서는 취업지원 프로그램에서 컨설팅을 받아 계속 가다듬어 가는 것이 중요합니다.저는 구직 중에 은행뿐만 아니라 공기업에 약 100개의 자기소개서를 썼습니다.NCS는 주에 2회, 취업지원 프로그램인 골드클럽 에 참가하면서 준비했습니다. 골드클럽 을 이용하시면 스터디룸 무료 이용 등 취업준비에 필요한 지원을 폭넓게 제공해 줍니다.꼭 혜택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금융계를 준비하신다면 경영은 스터디를 활용하고,많은 문제를 풀고 오답 정리를 통해 암기하시면 좋습니다. 경제는 한경TESAT 경제학 수준으로공부하시면 충분할 것 같습니다. 금융 상식은 매일경제신문 금융 상식 책을 보시거나 달마다나오는 잡지를 꾸준히 구독하면 큰 도움이 됩니다. 면접은 그룹스터디 활동으로타인의 객관적인 피드백을 받으며 준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2021.01.27
-
취업 성공 소식 작은 경험이라도 기록하고 정리 신명환 경제학과 | 2020년 하반기 광주은행 은행은 면접부터 시작 이라는 말이 있듯이, 저 또한 은행 취업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면접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면접기회를 얻기 위해서는 서류, 필기도 중요하지만고객을 응대하는 직무의 특성상 말하는 태도와 다른 사람과 융화되는 모습이 무엇보다 중요한 평가로작용합니다. 특히, 은행면접은 합숙 면접이 있습니다. 면접 태도는 하루아침에 만들 수 없기 때문에필기를 준비하시면서 면접도 병행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저는 올해 광주은행 채용과정에서 PT(프레젠테이션 발표)면접, 토론, 직무(인성)면접을 보았습니다.면접스터디를 통해 모의면접을 진행하며 실전 감각을 익혔습니다. PT 면접은 내용을 얼마나 논리적으로 전달하느냐가중요하기 때문에 듣는 사람이 편하도록 서론-본론-결론으로 나누어 발표하면 좋은 점수를 받습니다.고객 응대와 관련해서는, 대학생활 동안 많은 경험을 하는 게 유리합니다. 사람을 많이 만날 수 있는 활동을추천 드리며, 아르바이트 같이 고객을 실제로 상대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면 더욱 좋습니다.자기소개서 작성이나 면접에서 답변할 때 경험을 바탕으로 한 자신만의 필살기가 있다면 합격 확률이 높아집니다.이를 위해서는 사소한 것까지 자신의 경험을 정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작은 것부터 큰 것까지 값진 경험이라고생각한다면 훗날 취업 준비를 위해 간단히 메모해 놓는 것이 좋습니다. 경험정리는 자기소개서 작성과 면접 시구체적인 답변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또한 취업 준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어느 전형에서 탈락하더라도 탈락한 것에서 그치지 않고탈락의 이유가 무엇인지 생각하고 분석하는 것입니다.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적극 이용하여전문가의 무료 컨설팅도 꼭 받아보셨으면 좋겠습니다.
2021.01.27
-
취업 합격 소식 강경태 컴퓨터공학과 | 2020년 하반기 한전KDN 공공기관 취업을 준비하시는 분들이라면 이에 맞는 역량(스펙) 관리를 지속적으로 해왔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입사지원에 필요한 기본 자격 외에 여러 채용공고를 보면서 부족하다고 생각되는 점을 하나씩 채워나갔습니다. 특히, 입사지원서의 교육사항과 관련하여 학교생활에서 미처 채우지 못했던 부분을 보충하기 위해 별도의 직업교육을 수강했습니다. 그 결과 입사 지원서를 냈던 대부분의 기관으로부터 서류 합격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취업을 준비하며 지원하려는 기관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력이나 경험을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한전KDN 전산 직군의 경우 SW 개발 관련 경험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저는 조선업 정보운영팀에서 ERP 개발을 했던 경험과 Qualcomm Institute 해외 SW교육연수, 팀 창업 경험에 대해 많은 질문을 받았습니다. 개발 경험이 많이 없으시다면 관련 교육이나 프로젝트를 찾아 참여해 보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NCS(필기전형)는 크게 PSAT형과 모듈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채용 공고를 보시면 필기시험 NCS 과목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대부분 PSAT형과 모듈형이 섞여 나오는 추세입니다. 일반적으로 의사소통, 수리, 문제해결, 자원관리 같은 경우는 PSAT의 언어논리, 자료해석, 상황판단의 느낌과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 외 나머지 과목인 대인관계, 조직이해, 직업윤리 등의 과목들은 무조건 모듈형으로 나옵니다. 전공과목은 문제 출제위원이 교수님이신 경우가 많기 때문에 완벽하게 준비하려면 전공 원서를 보는 방법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면접을 준비할 때에는 대학일자리센터 컨설턴트 선생님의 도움을 많이 받았습니다. 선생님께서 PT 면접 준비 방법과 방향성을 잡아 주신 것이 가장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2021.01.27
-
취업 합격 소식 취업지원 프로그램 적극 활용 임재영 컴퓨터공학과 | 2020년 하반기 한전KDN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저는 실패를 여러 번 해보면서 부족한 점을 개선해서 이번에 최종 합격할 수 있었습니다. 저는 대학교 4학년 때부터 취업지원 프로그램인 골드클럽 등에 참여하며 공기업 전산직을 준비하기 시작했습니다. 스터디를 하면서 NCS 감각을 끌어 올렸고, 대학일자리센터의 입사지원서 뽀개기 를 통해 자기소개서를 컨설턴트 선생님과 함께 개선해 나갔습니다. 저는 2019년 상반기 공채부터 대기업, 공기업을 지원해 수차례 서류 탈락을 경험하면서 문제점을 찾고 개선해 나갔습니다. 또한, 저는 2019년부터 필기시험 NCS 공부를 해도 실력이 늘지 않아 대부분의 필기시험에서 탈락했습니다. 하지만 포기하지 않고 자신 있는 전공과목에 집중해 높은 점수를 받으면서, 부족한 NCS 점수를 보완할 수 있었습니다. 지역을 가리지 않고 공채에 지원하면서 필기시험을 여러 번 보았습니다. 한번 틀렸던 문제와 빈출 문제는 다시 틀리지 않으려고 노력했습니다. 이런 꾸준한 노력 덕분에 2020년 하반기 필기시험에서 90% 이상 합격할 수 있었습니다. 필기시험에 합격하니 면접이 문제가 되었습니다. 면접에서는 늘 탈락만 해서 면접에 대한 자신감이 바닥이었습니다. 고민 중에 대학일자리센터 면접뽀개기 에서 체계적인 면접 컨설팅을 받았습니다. 이를 통해 왜 그동안 탈락만 했는지, 어떤 점이 부족한지 깨닫게 되었습니다. 대학일자리센터의 면접컨설팅으로 그토록 바라던 최종 합격까지 갈 수 있었습니다. 취업을 준비하는 학생들이 대학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모두 원하시는 기업에 취업 성공하길 기원하겠습니다.
2021.01.27
-
취업 성공 소식 소방공무원 단계적 준비 면접지원 프로그램 큰 도움 대준호 경영학부 | 2020년 하반기 소방공무원저는 소방공무원이 되기 위해 필요한 역량에 맞춰 단계적으로 준비했습니다.자기소개서를 준비할 때에는 소방공무원의 기본 덕목에 맞춰 대학생활을 강조하였습니다.소방관은 봉사정신을 가지는 것이 가장 중요한 덕목이라고 생각했습니다.중학생부터 꾸준히 해왔던 헌혈, 복지관 봉사와 함께 대학입학과 동시에 캄보디아 해외봉사에두 차례 갔던 것을 중점으로 소개했습니다. 또한 학교에서 진행한 봉사경연 프로그램 코빌둥 에서 수상한 경력과 수해복구 봉사 등을 적었습니다.저는 필기시험 공부를 위해 처음에는 무턱대고 인터넷 강의를 들었습니다.도서관에 가서 10시간 정도 강의만 들었던 것 같습니다. 기본적인 개념을 1회독 한 후다섯 과목에 관한 문제집을 3권씩 구입하였습니다. 그리고 책에 답을 적지 않고 문제를 다시 풀 수있게끔 공부하였고 암기가 많은 한국사 같은 경우에는 문제집을 20회 정도 보았습니다. 이 같은 반복학습이 필기시험에 합격할 수 있었던 비결 같습니다.소방공무원 면접에는 단체면접과 개인면접이 있습니다. 단체면접은 주로 시사문제나 소방공무원의 문제에 대해 나옵니다.개인 면접에서는 자기소개서를 바탕으로 다섯 가지 정도 질문을받았습니다.저는 처음에 면접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고 자신감도 있었습니다. 그러다 면접을 1주 앞두고 주변 지인의 추천으로대학일자리센터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모의면접에 참여하니 제 예상과는 다르게 면접은 정말 긴장되고 어려운 것이었습니다.만약 실제 면접이었다면 분명 떨어졌을 것입니다. 면접 프로그램에 참여해 철저하게 준비한 덕분에실제 면접에서 전혀 긴장하지 않고 고득점을 받아 합격을 거머쥘 수 있었습니다.
2021.01.27
-
취업 합격 소식 미리 준비하면 효율적인 취업준비 백지원 전기공학과 | 2020년 하반기 광주광역시도시철도공사 저는 취업준비에 있어 소위 말하는 스펙 이 과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서류전형을 통과할 수 있는 최소한의 직무 관련 스펙을 미리 준비하는 것 입니다. 4학년 1학기부터 각종 자격증과 어학 점수를 완성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저는 3학년 때부터 차근차근 토익부터 시작하여 전공 관련 자격증 등을 획득해 두었습니다. 자격증을 미리 준비해서 4학년 2학기부터는 NCS와 전공 공부에 몰두할 수 있었습니다. 이는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취업 준비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NCS 또한 효율적인 준비가 필요합니다. 공부할 때 정해진 시간 안에 내가 풀 수 있는 문제를 먼저 찾고, 그 문제를 정확히 맞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제집을 풀어가며 내가 어떤 유형에 강한지 먼저 구별해 보시기 바랍니다. 또한 문제집을 일회성으로 한 번만 푸는 것이 아닌 최소 2회독하며 반복해서 푸는 것이 좋습니다. 여러 번 볼수록 다양한 접근 방법을 알아낼 수 있고 나만의 풀이 방법에도 더 익숙해질 수 있습니다. NCS만큼이나 전공 시험을 잘 준비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NCS준비가 일정 수준 됐다고 생각이 들면, NCS와 전공 공부를 3:7의 비율로 하시기를 추천합니다. 면접 전형에서는 본인의 경험을 면접관들과 진솔하게 대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미리 준비한 것을 외워서 발표하기보다는 자신감을 가지고 자연스럽게 말해야 합니다. 로봇처럼 외운 것을 쏟아낸다면 오히려 마이너스가 된다고 합니다. 직무와 관련한 경험들을 진솔하게 정리한 뒤, 자연스럽게 말할 수 있도록 계속 연습하는 것이 최종 합격의 핵심입니다.
2021.01.27
-
취업소식 조선대 경찰행정학과 형사 사법기관 공무원 시험 최종 합격자 33명 배출 학과 정원 대비 굵직한 성과 형사/사법기관 채용에 최적화된 커리큘럼 조선대학교 자연과학 공공보건안전대학 경찰행정학과가 경찰직 등 최근 치러진 형사사법기관 공무원 선발시험에서 소속 재학생 및 졸업생 33명이 최종 합격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는 지난해 25명보다 8명이 많은 인원이다. 분야별로는 경찰직 30명, 검찰직 1명, 교정직 1명, 지방행정직 1명이다. 학과 모집정원이 37명인 점을 감안하면 굵직한 결과다. 조선대 경찰행정학과는 2004년 창설부터 교과과정 개선사업을 통해 경찰, 검찰, 교정 등 형사사법기관 공무원 채용시험에 최적화된 커리큘럼을 운영하고 있다. 자체고시원 및 무도실 운영, 재학생 체력 및 면접능력 관리시스템 구축, 우수학생 장학금 및 교재 지원, 지역경찰서 현장실습, 명사 초청특강 등 학생들에게 실질적이고 적극적인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경찰행정학과 이경준(3학년, 23세) 회장은 일선에서 근무하고 있는 선배님들과의 멘토-멘티 협력체계가 긴밀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수험준비와 진로설계에 필수적인 다양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는 점이 학과의 큰 장점 이라고 소개했다. 학과장인 정세종 교수는 학생들의 공무원 시험 합격을 최우선 목표로 설정하여 여러 교수님들이 전력을 다한 결과, 이번 시험에서 상대적으로 좋은 결실을 맺을 수 있었다 면서 앞으로도 학생들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바탕으로 그들의 니즈(needs)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수요자 지향형 학사행정을 계속적으로 펼쳐나가겠다 고 말했다.
2021.01.27
-
이영란의 차이나 허스토리그림_최연희(만화 애니메이션학과)조국인 한나라의 평화를 위해흉노의 땅으로 떠나는 중국의 미녀 왕소군.마음이 고와야 여자지 이영란 | 자유전공학부 교수요즘 트로트 열풍으로 여기저기에서 트로트를 자주 듣게된다.그 노래 가사 중에 마음이 고와야 여자지 얼굴만 예쁘다고 여자냐 라는 노래 가사가 있다.미와 덕을 사이에 두고 동양에서는 여성을 바라보는 기준을 미보다 덕에 두고자 하였다.덕을 갖춘 여성, 즉 추녀이지만 덕과 재(才)를 겸비한 여성을 높이 평가하는 예가 많이 등장한다.중국의 속담에도 추한 아내와, 가까이 있는 밭은 집안의 보배 라는속담이 있을 정도이다. 그런데도 우리는 중국의 4대 미녀와 추녀 중 4대 미녀라 불리는 양귀비, 서시를더 잘 알고 있다.중국 4대 미녀가 모두 나라를 망친 여성으로 그려진 것은 아니지만, 대체로 여성에 대한 부정적 측면을돋보이게 하는 이야기가 많다.그녀들을 기억하는 이유가 나라를 망친 미녀이기 때문일까? 아니면 나라를 망친 왕의 잘못을 덮어주기 위해그녀들이 유명해진 것일까?물고기가 헤엄치는 것을 잊어버릴 정도로 아름다웠다는 침어 서시(侵漁 西施). 오나라에 패망한 월왕구천의 충신인 범려가 서시를 오왕 부차에게 바쳤다. 결국 서시의 미색에 빠진 오나라는 멸망하게 되었다.다시 서시를 찾은 범려는 서시에게 월나라로 돌아가자고 하였으나, 서시는 거절했다. 나라를 위해 희생해야겠다는 마음으로부차와 오자서 두 남자를 마음에 두었으니 자신이 여기에서 생을 마감하겠다 며 떠난다.왕소군(王昭君)은 흉노의 땅으로 떠나면서 비통한 마음을 비파로 연주하자, 기러기가 날개짓을 멈추고 떨어졌다고 하여 낙안 왕소군(落雁 王昭君) 으로 알려졌다. 한나라는 흉노와의 화친 조건으로 후궁을 보내야만 했고,한의 원제는 화공이 그린 궁녀들의 초상화를 보고 아름답지 않은 궁녀를 바치기로 했다.많은 궁녀들이 뇌물을 바쳐 화공을 회유했으나, 왕소군은 뇌물을 주지 않았다.화공은 왕소군의 초상화를 예쁘게 그려주지 않았고, 한의 원제는 초상화만 보고 왕소군을 흉노에게 보내기로 결정했다.왕소군이 떠나는 날 한원제는 그녀의 아름다운 미모을 보고 놀랐다.하지만 어쩔 수 없이 흉노에게 보냈다. 왕소군은 흉노의 왕과 결혼해 왕자와 공주들을 낳았으며,흉노의 땅에서 오래도록 살았다. 그녀가 있었기에 흉노와 한 왕조는 우호관계를 유지할 수 있었다.초선(貂蟬)은 뒤뜰 화원에서 달이 그 미모에 움츠려져 구름 뒤로 숨었다고 하여 폐월(閉月)이라 불렸다.초선은 지혜와 담력 그리고 희생정신으로 자신을 돌보아 준 왕윤에게 보답하는 여성 이야기로전해진다. 그녀는 여포에게 선을 보여 첩이 되기로 약속한 후, 동탁의 첩으로 들어가서 여포를 화가 나게 한 다음,둘 사이를 갈라놓아 여포가 동탁을 처리하게 만드는 계략, 즉 연환계(連環計)를 발휘했다.양귀비가 양옥환(楊玉環)은 궁중에 들어가 고향에 대한 그리움으로 화원에서 꽃을 보며 눈물을 흘리니꽃들이 부끄러워 고개를 숙였다고 하여 수화(羞花)라 한다.양귀비는 외모뿐만아니라 가무(歌舞)에도 뛰어난 재능을 보였으며, 군주의 마음을 끌어당기는 총명을겸비하였다고 한다. 양귀비는 처음 현종을 만난 연회에서 현종이 작곡한'예상우의곡(霓裳羽衣曲; 무지개처럼 아름답고 깃털처럼 하늘하늘한 노래)'의 악보를 보자마자즉석에서 노래를 부르며 춤을 추었다는 이야기가 있다.때때로 역사는 미녀들에게 나라를 멸망시켰다는 책임을 지운다. 한나라가 망하고 흥하는 것을여성의 탓으로 돌린다는 것은 맞지 않다.나라를 구하기 위해 자신을 희생한 월나라의 서시, 평화를 위해 눈물을 삼키며 조국을 떠났던 왕소군,자신을 돌보아 준 이에 보답하기 위해 지략을 펼친 초선, 애절하고 낭만적인 사랑을 보여준 양귀비까지 .아름다움에 가려진 그녀들의 덕을 보고 미녀 에 앞서 재녀 라고 평가할 수 있지 않을까?
2021.01.27
-
정구태의 이야기 법률상식 딸들이 아들을 상대로 유류분 반환 청구 소송을 진행하고 있다.그림_최연희(만화 애니메이션학과)아들에게만 재산 상속한 아버지남은 자식들 몫은?상속인의 최소한의 권리 유류분(遺留分)에 대하여정구태 | 공공인재법무학과 교수A는 슬하에 딸 B, C와 아들 D를 두었다. 그런데 A는 배우자를 먼저 여읜 뒤,자신의 모든 재산 3억 원을 아들인 D에게만 증여하고 사망했다.A로부터 아무런 재산도 상속받지 못한 두 딸은 어떠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을까?상속인이 될 수 있는 사람은?사람이 사망하면 생전에 그에게 속하던 모든 권리와 의무가 특정인에게 넘어가는데,이를 상속이라고 한다. 상속 제도가 인정되는 이유는 사유재산 제도가 인정되기 때문이다.사람이 생존한 기간 동안에만 재산을 소유할 수 있다면 사유재산 제도는 사망할 때까지재산을 단지 사용하고 수익할 수 있다는 것 이상의 의미가 없을 것이다.상속에 의하여 재산을 후대에까지 넘겨줄 수 있을 때에 비로소 재산을 온전히 사유한다고 말할 수 있다.그렇다면 상속인이 될 수 있는 사람은 누구인가? 우리나라 「민법」은 상속의 순위에 관하여사람이 사망하면 그의 자녀가 가장 먼저 상속을 받고, 사망한 사람에게 자녀가 없으면그 부모가 상속을 받으며, 사망한 사람에게 자녀도 없고 부모도 없으면 그 형제자매가 상속을 받고,이들마저 존재하지 않으면 사망한 사람의 삼촌이나 조카 등이 상속을 받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그리고 사망한 사람의 배우자는 사망한 사람의 자녀나 부모와 공동으로 상속하며,사망한 사람에게 자녀도 없고 부모도 없으면 단독으로 상속인이 된다.앞에서 든 예에서 사망한 A에게는 자녀 B, C, D가 있으므로 이들이 공동으로 A의 재산을 상속한다.「민법」이 제정되어 시행된 1960년만 하더라도 남존여비 사상에 의해 딸의 상속분은아들의 상속분의 1/2에 불과했지만(결혼한 딸의 상속분은 아들의 상속분의1/4),현재는 이러한 불합리한 차별은 모두 없어졌다. 그리하여 A가 남긴 재산 3억 원은 딸인B, C와 아들인 D에게 각각 1억 원씩 똑같이 상속된다.유류분(遺留分)이란 무엇일까?그러나 A가 사망하기 전 자신의 전 재산을 아들인 D에게만 증여함으로써딸인 B와 C는 아무런 재산도 상속받지 못하게 되었다. 이러한 경우B와 C에게는 어떠한 권리가 인정될 수 있을까? 결론부터 말한다면,딸 B와 C는 아들 D를 상대로 유류분 반환 청구권을 행사하여, A의 증여가 없었다면자신이 본래 받을 수 있었던 상속분(1억 원)의 절반(1/2)에 해당하는 5000만원의 재산을각각 D로부터 반환받을 수 있다. 이처럼 사망한 사람의 생전 증여나 유증(유언에 의한 증여)이 있더라도상속 재산 중 최소한의 몫(본래 받았을 상속분의 1/2 또는 1/3)은 상속인에게 유보되어야 하는데,이렇게 상속인에게 유보되는 상속 재산 중 최소한의 몫을 유류분(遺留分) 이라고 한다.공평한 상속 보장 유류분 제도 최근 위헌 논란그렇다면 유류분 제도는 왜 인정되는 것일까?사유재산 제도가 인정되므로 사람은 자신의 재산을 마음대로 처분할 수 있다.그러나 자신의 전 재산을 상속인 중 일부에게만 증여 또는 유증함으로써다른 상속인이 재산을 상속받지 못하도록 하는 것은 상속인 간의 공평을 깨뜨리는 것이다.특히 앞에서 든 예처럼 사망한 사람이 아들에게만 재산을 증여 또는 유증함으로써딸들이 아들을 상대로 유류분 반환 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가 많다.다만 근래 들어 사망한 사람의 처분의 자유를 제한하는 유류분 제도가 정당한지문제를 제기하는 목소리가 점차 커지고 있다.상속을 받지 않더라도 유족의 생계에 별다른 지장이 없는 경우까지 일률적으로상속인에게 유류분을 보장해 줄 필요가 있는지 의문이라는 것이다.유류분 제도가 공익적 목적을 위한 기부에도 큰 장해가 돼 공공복리를 저해하는 측면도 있다.현재 유류분 제도가 위헌인지 여부를 가려 달라는 심판이 제기되어 헌법재판소의 판단을 기다리고 있다.헌법재판소는 과거에 여러 차례 유류분 제도가 헌법에 위반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는데,시대적 분위기가 변한 오늘날에는 어떤 결정을 내릴것인지 주목된다.
2021.01.27
-
뿌리가 견실하니 사계절 꽃이 피다 조선대학교 김보현미술관 2020년 올해의 작가상 전시회12월 15일 ~2월 10일조선대 출신 유망 작가에김자이 이인성 정정하 최희원 수상조선대학교 김보현 실비아올드 미술관은 2020년 제2회 올해의 작가상:뿌리가 견실하니 사계절 꽃이 피다展 을 2020년 12월 15일부터 2021년 2월 10일까지 개최한다.-2018년 1회 개최에 이어 올해 2회를 맞는 올해의 작가상은 조선대학교 미술대학 출신 작가 중작품 활동에 열중하고 있는 작가를 발굴 및 지원하는 전시 프로그램으로 2년에 한 번씩 개최된다.-이번 전시의 주제인 뿌리가 견실하니 사계절 꽃이 피다 는 전도유망한조선대 출신 예술가들이 모교에 튼튼한 뿌리를 두고 세계로 뻗어 나가길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올해에는 코로나19로 미술관을 방문하기 힘든 관람객들을 위해 온라인 전시도 진행된다.- 2020년 올해의 작가상 에는 광주 전남 문화예술 관계자들로부터 총 16명의 모교 출신 작가 추천을 받아최종 심사를 거쳐 4명의 작가가 선정됐다.이번에 선정된 작가는 김자이, 이인성, 정정하, 최희원 작가이다. 이들은 최근 예술계에서 주목받고 있으며,앞으로 영향력이 커질 것으로 기대되는 작가들이다.-조선대학교 조송식 미술관장은 동문 작가들이 자신만의 작품세계를구축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 노력하고 있다. 모교 출신 작가를 양성하기위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이어져 작품 활동을 열심히 하는 작가들에게더 많은 좋은 기회가 제공되었으면 한다 고 바람을 나타냈다. 김자이 作 _ 휴식의 기술-last episode 가변설치Mixed media, 2017-2020 김자이 作 '휴식의 기술' 김자이 작가는 아무것도 하지 않고 안정을 취하는 정적인 휴식 과 가벼운 운동이나 산책 등 새로운 에너지를 만드는 동적인 휴식 으로 분류하고, 작가가 집중할 수 있는 몇 가지휴식 방법을 찾아내 작품세계에 반영했다. 최희원 作 _ 산지린구, 가변설치, 목재, 2016 최희원 작가는 생성과 소멸, 생과 사, 순환은 살아있음이며, 광대한 우주 안에서 조선대학교 김보현 실비아올드 미술관은 2020년 제2회 올해의 작 결코 멈추지 않는 영원함을 나무의 숨결을 통해서 표현하고 있다. 최희원 作 _ 산지린구, 가변설치, 목재, 2016 이인성 作 _ 지지않는달-섬 200x150, Acrylic on canvas, 2020 이인성 작가는 현실과 가상의 장면을 오가는 이미지들 속에 독특한 장치인 주황색 점을 배치함으로써 은유적, 상징적 표현방식을 드러낸다. 정정하 作 _ Light Pixel, 177cm 1129cm, 건축용페인트, 목재패널, 2019~2020 정정하 작가는 빛을 가두어 기록하는 작품을 선보인다. 빛을 기록한 작품 으로 작가의 심상, 인간의 심상을 전한다.
2021.01.27
-
조선대학교와 함께하는 즐거운 홈트레이닝조선대학교 미술체육대학 체육계열학과 협업체조부터 운동종목 기술까지 완성도 전문성 담아금메달리스트 기보배 등 프로선수도 재능기부교육청 지역사회 건강증진에 이바지 호평조선대학교 미술체육대학 체육계열학과들인 스포츠산업학과, 체육학과, 태권도학과, 공연무용예술과가 협업하여 조선대학교와 함께하는 즐거운 홈트레이닝 동영상을 제작했다.-이번 프로젝트는 코로나19로 야외활동이 급격히 감소한 광주 전남 초 중 고 학생들에게집에서 쉽게 따라할 수 있는 홈트레이닝 영상을 제공하여 체력증진을 지원하고자 마련됐다.- 조선대학교와 함께하는 즐거운 홈트레이닝 은 12월 24일까지 매주 3개, 총 30개 동영상이 제작되었다. 금메달리스트 재능기부 화제특히 이번 영상에는 조선대학교 체육계열 학부 및 대학원생이 재능기부로 출연해 운동 방법을 시연했는데,올림픽 양궁 금메달리스트 기보배 선수, 아시안게임 110m 허들 금메달리스트 정혜림 선수가 영상에 출연하여 눈길을 끌었다.기초운동부터 종목별 운동기술까지영상에는 순발력, 민첩성, 근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유연성 등 다각적으로 체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콘텐츠가담겨있다. 기초체력 운동뿐만 아니라 농구, 배구, 축구, 태권도, 육상, 댄스, 발레 등의 종목별초급, 중급, 고급 기술도 등도 포함되어 전문성을 높였다. 초 중 고등학교 교육자료로 적극 활용 광주시 전남도교육청과 협약 조선대학교 미술체육대학은 지난 10월 14일 전라남도교육청, 12월 9일 광주시교육청과 조선대학교와 함께하는 즐거운 홈트레이닝 활용에 관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 이에 따라 영상이 조선대학교 공식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되면, 교육청이 광주 전남지역 학교에서 체육수업 등에 적극 이용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다. - 광주시교육청 관계자는 우수한 체육인재를 배출한 조선대학교가 전문적인 체육지도와 프로 선수들이 출연하는 홈트레이닝 영상을 제공하여 교육청 차원에서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면서 코로나19로 체육활동이 제약된 학생들이 실내에서도 건강한 몸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 이라고 평가했다. - 이번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조선대학교 미술체육대학 김민철 교수(스포츠산업학과)는 조선대학교와 함께하는 즐거운 홈트레이닝 영상은 성장하는 청소년들이 바른 체형을 형성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운동자세 및 건강상식을 가득 담아 만들었다 면서 이번 프로젝트는 학과 간 협업과 재능기부, 지역사회 건강 증진에 기여한다는 측면에서 우수사례로 호평을 받고 있다 고 말했다.
2021.01.27
-
-
조선대 소식음악교육과, KB청소년음악대학 지원사업 성료조선대학교가 지역 청소년 음악교육 사회공헌 프로그램인 KB청소년음악대학 지원사업 의8년 여정을 최근 마무리했다.-KB청소년음악대학은 KB금융그룹에서 후원하고, 사회복지법인 아이들과미래재단이주관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음악적 재능을 가진 청소년중에서 가정 형편이 어려운학생을 위해 대학 교수진이 직접 레슨에 나서는 사회공헌 프로그램이다.대학별로 총 20명의 청소년을 전액 장학생으로 선발하여 1:1 맞춤형 음악전공 인재특강 및마스터 클래스, 향상음악회, 지역사회 재능기부음악회 등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한다.-조선대학교 음악교육과는 지난 2013년부터 KB청소년음악대학 지원사업 공모에서전라권역(광주 전남 전북) 음악인재교육 거점대학으로 선정되어 8년간 사업을 운영했다.2020년 8월부터 10월까지 진행된 8차년도 수업에서는 코로나 19로 인해 비대면으로레슨 및 멘토링(상담)이 운영됐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조선대학교 음악교육과에서수업을 받은 학생들은 음악대학 및 예술고등학교의 진학과 각종 콩쿠르 입상 등기대 이상의 실적을 거두고 있다.-조선대학교는 KB청소년음악대학 8차년도 성과공유 및 수료식을 지난 10월 26일(월)오후 1시 조선대학교 사범대학에서 개최했다.이날 사업의 책임교수인 김지현 음악교육과 학과장과 실무연구원으로 활약한음악교육과 정찬영 학생(3학년) 등에게 감사장을 수여했다.
2021.01.27
-
조선대 소식조선대-전주대-제주대 5 18광주민주화운동 역사의식 공유 로컬 러닝 프로젝트 대학생 역사다움 개최조선대학교는 전주대학교, 제주대학교와 함께하는 제2회 로컬 러닝 프로젝트-대학생 역사다움 을11월 5일부터 7일까지 3일간 개최하여 5 18광주민주화운동이 지닌 역사적 의미를 알리고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이 프로그램은 대학혁신지원사업의 일환으로 호남 제주권 지역문화에 대한 대학생 간의정보공유 및 역사의식 제고를 위해 마련됐다.-올해에는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하여 각 대학에서 실시간 온라인 방송으로 진행됐다.조선대학교는 학생성공라운지에 마련된 1인용 비대면 교육 환경을 활용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했다.이번 프로그램은 특강과 영상물 시청, 대학 혼합으로 구성된 팀 프로젝트 발표를 통해광주5 18 민주화 운동에 관한 역사적 사실과 사회적 영향을 되짚어보는 자리가 됐다.
2021.01.27
-
조선대 소식안과광학의료기기글로벌화지원사업단 센터 개소식 개최국내 안과광학의료기기 중소기업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조선대학교 안과광학의료기기글로벌화지원사업단은 지난 11월 27일 오후 3시조선대학교 의과대학50주년기념관과 의과대학 3호관에서 안과광학의료기기글로벌화지원사업단 센터 개소식을 진행했다.-이날 개소식에는 조선대학교 민영돈 총장을 비롯하여 광주광역시, 지역산업 연계 기관 담당자,지역사업 수행 유관기관 및 대학 관계자 등 산 학 연 관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했다.-개소식은 안광학사업단 참여기업의 제품 및 홍보물 관람을 시작으로 기념 촬영, 테이프커팅식,센터 라운딩 순서로 진행됐다. 이후 센터의 성공적인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산 학 연 관 병원이 협력하여 네트워크 활동을 진행했다.-안광학사업단 고재웅 단장은 국내 안과광학의료기기 중소기업의 글로벌 시장진출국산화 기반 조성을 목표로 안광학사업단 센터를 개소하게 됐다.앞으로 대학, 지자체, 산업체와의 유기적 협력을 통해 지역의 발전과 미래 안과광학 기술을선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고 말했다.
2021.01.27
-
조선대 소식 다채로운 섬유예술 10개의 파장 섬유 패션디자인전공 졸업작품 전시회ACC 라운지에서도 전시조선대학교 라이프스타일디자인학부 섬유 패션디자인전공 졸업생들이 다채로운 섬유 예술 작품으로진행하고 있는 졸업작품 전시회가 관객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이번 졸업전시회는 10 Wavelengths 라는 주제로 11월 9일부터 13일까지조선대학교 미술대학 내에 위치한 조선대 미술관에서 펼쳐졌다.-이번 전시의 주제인 10 Wavelengths 을 해석하면 10명의 파장 이다.서로 다른 10명의 졸업생이 각자의 브랜드를 런칭하고 함께 모여 전시회를 개최함으로써, 10개의 파장 을 모아 좋은 에너지를 전달하자는 뜻이다. 아울러 지금의 졸업이 끝이 아니라하나의 시작이 되어 훗날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칠 파장이 되자는 의미도 담고 있다.-전시에선 고동우 박회중 양철현 양수영 강윤성 안경은 이지현 박보경 정찬희 손휘준 학생이다양한 섬유소재 활용과 초현실적 감각이 한데 어우러진 실험적 작품을 선보였다.-이 졸업전시회는 ACC(국립아시아문화전당) 지역예술대학 졸업전시 지원 공모사업에도 선정되어11월 17일부터 ACC 라운지에서도 전시됐다.
2021.01.27
-
조선대 소식조선대학교 LINC+사업단 대학의 공공성 강화와 지역발전 주제 포럼공영형사립대 추진방향 및 지역사회 역할 논의 국민적 공감대 형성 위해 지역사회 교감 필요 조선대학교 LINC+사업단이 (사)경제문화공동체 더함/더함 경제문화연구소와 함께 대학의 공공성 강화와 지역 발전: 공영형 사립대 추진방향 및 지역사회의 역할 을주제로 개최한 포럼이 성황리에 마무리됐다.-지난 11월 13일 개최된 이번 포럼은 조선대학교가 지역민과 교류를 활성화하고 지역민들에게필요한 대학으로 가기 위한 첫걸음으로 마련됐다.-포럼은 조선대학교 LINC+사업단이 설립한 충장로산학협력거점센터 에서 개최되었으며,윤영덕 국회의원(남구을, 국회 교육위원회), 조선대학교의 민영돈 총장, 김시욱 교수평의회 의장,양고승 노동조합 위원장의 축사를 시작으로 발제와 지정토론이 진행됐다.이날 포럼에서 윤영덕 의원은 축사를 통해 공영형사립대 정책은 지역발전과 혁신을위해 필요한 정책 이라며 국민적 공감대 형성을 위한 사립대의 노력이 필요하다 고전했다.
2021.01.26
-
조선대 소식대학일자리센터, 고용노동부 우수사례집 최다 사례 선정비대면 진로설계 call-back 상담서비스 등 호평조선대학교 대학일자리센터가 고용노동부가 최근 발간한 대학일자리센터 우수사례집 에서 전국 108개 대학 중 우수사례에 가장 많이 선정됐다.-이번 사례집에 소개된 조선대학교 대학일자리센터 프로그램은 총 5건이다.코로나19 시대 청년 취업지원을 위해 인프라를 개선한 우수사례로 대학생통합지원시스템(CU+/Career Up+)을 활용한 진로 취업지원 서비스 가 선정됐다.-또한 비대면 프로그램 우수사례로는 진로설계 call-back 상담서비스 와 진로교과목 자기탐색과 미래설계 가 선정됐다. 청년 스스로 참여하고 싶은 취업지원 프로그램을기획하는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공모전 도 자기주도적인 취업역량 강화 활동을유도했다는 호평을 받았다.-미국, 유럽, 싱가포르, 일본 등 해외취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해외취업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글로벌 취업 현직자 특강 및 멘토링을 진행한 글로벌취업 Cheer up! 도우수사례로 이름을 올렸다.
2021.01.26
-
조선대 소식호남 역사의 시작 보성강 유역서 최초 한일교류 흔적 찾는다역사문화학과 주관 보성강 유역 구석기문화의 가치와 활용 학술대회 및 체험행사호남의 역사가 시작된 보성강 유역에서 구석기시대 문화의 위상과 가치를 재발견하기 위해 개최된국제학술대회와 체험행사가 성황리에 마무리됐다.이번 행사는 전라남도 장흥군 주최, 조선대학교 역사문화학과 주관,신북구석기유적보존회 후원으로 지난 11월 20일부터 이틀간 장흥군(우드랜드 목재산업지원센터)와순천시 일원에서 개최됐다.-행사에서는 구석기에서 미래로 -장흥 신북유적과 보성강 유역 구석기문화의 가치와 활용 이라는 주제로학술대회와 체험행사가 진행됐다.-이번 학술대회 및 체험행사에서는 조선대학교 박물관이 1995년부터 발굴한 국가사적인순천 월평유적과 전라남도기념물인 장흥 신북유적을 통해 3만년 전 호남 역사의 시작인구석기 시대를 재조명하고 새로 발견한 역사적 사실 및 관련 연구결과를 공유했다.학술대회에는 암비루 마사오 일본 메이지대 명예교수와 배기동 전 국립중앙박물관장,김권구 계명대 교수, 정은성 호남대 교수, 이기길 조선대 교수 등 한일 구석기 학계 학자들이 대거 참석했다.-특히, 암비루 마사오 교수는 한반도 남부와 일본 규슈 지역 사이에 우리나라 최초의 한일교류 가 이루어졌다는 주장을 제기했으며, 그 근거로 보성강 유역에서 출토되는일본코시타게산(産) 흑요석과 규슈의 다쿠-오기 안산암 원산지에서 대량으로 제작된한국계 슴베찌르개를 제시해 학계의 눈길을 끌었다.
2021.01.26
-
조선대 소식법사회대학, 지역청년 미래 담은 영상제작소 영제(映製) 출범지역사회 이슈 발굴 대안 마련 공론의 장 형성조선대학교 법사회대학에 지역청년의 미래를 담는 영상제작소 영제(映製) 가 출범했다.지난 11월 26일 개최된 개소식과 현판식에는 민영돈 조선대학교 총장, 김춘성 조선대학교LINC+사업단장, 권상로 법사회대 학장 등이 참석했다.-조선대학교 LINC+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법사회대학에 자리 잡게된 영제 는 지역 청년들이영상을 매개로 삶의 현장인 지역사회의 미래를 직접 디자인하는 공간이다.조선대학교에서 학생들이 직접 사회 문화 경제 정치 등 다양한 분야의 이슈를 발굴하고대안을 마련하는 공론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영제는 첫 번째 사업으로 민선 7기 광주광역시 기초단체장의 공약 및 이행도 평가 를 주제로조선대학교 법사회대 학생들이 참여하는 팟캐스트를 제작한다.
2021.01.26
-
조선대 소식광주치매코호트연구단장이건호 교수(의생명과학과)광주치매코호트연구단 MRI만으로 치매 조기 예측 초정밀 MRI뇌영상으로 60세 노화과정 표준화치매 예측 인공지능(AI) 기술 주도권 확보 기대조선대학교 광주치매코호트연구단이 MRI검사만으로 치매를 조기에 감별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해인공지능(AI)을 이용한 치매예측 기술 개발을 앞당겼다.-앞서 조선대학교 광주치매코호트연구단은 대규모 치매코호트 추적연구를 통해 서양인에 비해한국인을 비롯한 동아시아인이 알츠하이머 치매에 더 취약하다는 사실을 규명한 바 있다.-연구단은 지난 8년간 쌓아온 건강한 노인 1000명 이상의 초정밀 MRI뇌영상을 이용, 60세 이상한국인의 노화과정을 표준화하여 치매가 진행되고 있는 뇌를 조기에 감별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했다.노인성 치매는 뇌의 손상과 위축이 상당히 진행된 이후에 증세가 나타나기에 발병 이후에는사실상 치료가 어려워 예측을 통한 예방 및 치료가 중요하다.-이번 연구는 뇌신경과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프론티어 인 에이징 뉴로사이언스 에도 게재되었다.연구단은 이번 연구결과를 MRI검사만으로 치매를 유발하는 미세한 초기 뇌손상을 조기에 찾을 수 있는인공지능(AI) 기술 개발에 활용하며, 이르면 내년부터 광주지역에서 MRI 뇌사진을 이용한치매 고위험군 예측 시범서비스를 시행할 예정이다.
2021.01.26
-
조선대 소식 2020년 특성화학과 통합학술제 성료혁신교육의 일환으로 특성화학과를 운영하고 있는 조선대학교가 특성화학과통합학술제 를 개최하여 특성화학문 간 비전을 공유하고 교류활동을 펼쳤다.-조선대학교 특성화 분야는 ▲사회안전망 ▲K-컬처엔터테인먼트 ▲스마트이동체융합시스템공학▲인공지능/ICT 분야이다.-12월 2일 오후 12시부터 3시까지 진행된 이번 학술제는 융복합 시대의 재난과 치유 를 주제로 진행됐다.사회안전망 분야에는 경찰행정학과, 상담심리학과, 작업치료학과, 언어치료학과,소방재난관리학과가 속해 있으며, K-컬처엔터테인먼트 분야는 K-컬처엔터테인먼트학과,스마트이동체융합시스템공학 분야는 스마트이동체융합시스템공학부, 인공지능/ICT분야에는컴퓨터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가 참여하고 있다.-이날 학술제에서는 조선대학교의 특성화 분야 소개와 함께 각 분야에서 준비한 학술 발표가 진행됐다.사회안전망 분야에서는 재난 트라우마 그리고 아동학대 를 주제로 발표했으며,K-컬처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는 코로나19라는 재난으로 몸과 마음을 다친 사람들을대상으로 대중음악을 활용한 치유 효과를 발표해 눈길을 끌었다.
2021.01.26
-
학생수상 소식스포츠산업학과박준석 장태영 류준선스포츠산업 고도화 아이디어 공모전장려상조선대학교 스포츠산업학과 재학생들이 지난 10월 15일,서울 IFC홀에서 개최된 대한민국 스포츠산업 고도화 아이디어 공모전 에서 장려상을 수상했다.-조선대 스포츠산업학과 3학년 박준석, 장태영, 류준선 학생으로 구성된 팀 세바스찬(세상을 바꾸는 스포츠산업의 찬란한 미래) 이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와딜로이트안진회계법인이 공동으로 주관한 대한민국스포츠산업 고도화 아이디어 공모전 에서장려상을 수상했다.-조선대학교 스포츠산업학과 학생들은 넥스트 노멀시대의 프로스포츠팬 고객경험극대화를 위한 게이미피케이션 전략 이라는 주제로,프로스포츠 구단의 코로나 19 위기 극복을 위한다양한 언택트 마케팅 방안을 제안해 높은 평가를 받았다.
2021.01.26
-
학생수상 소식건축학과(5년제)김규진 이들 민지혜부산국제건축디자인워크숍우수상조선대 건축학과(5년제) 4학년 김규진, 이들, 3학년 민지혜 학생은 포스트 코로나로변화된 우리의 삶과 주택을 주제로 한 부산국제건축디자인워크숍 에서우수상(조직위원장상)을 수상했다.이번 대회는 2003년부터 부산광역시, 부산건축제조직위원회,한국건축가협회부산건축가회에서 공동으로 개최하였으며,지난 8월부터 9월까지 워크숍이 진행됐다.주제는 발코니와 바이올린, 코로나19 이후의 삶(Balcony and Violin, Life of Post-Covid-19) 으로유럽, 미국, 중국, 일본, 한국의 건축학과 총 18개 팀이 참여했으며10월 말 수상 팀이 발표됐다.김규진 학생 등 3명은 Metamorphosis: from isolation to solitude(변화: 고립으로부터 고적으로) 라는주제의 실내공간 디자인을 제시했다.이 디자인은 다양하게 변모하는 공간 구성 , 오감을 일깨우는 건축 소재의 활용 그리고 신선한 자연의 내부 공간 유도 라는 3가지 키워드를 활용하여 광주의 노후화된 아파트를리모델링하는 방안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2021.01.26
-
학생수상 소식생명화학고분자공학과정진주 김재훈 박희경 최슬기한국방사선산업학회 학술대회우수논문발표상공과대학 생명화학고분자공학과 학부생 정진주(3년) 김재훈(3년) 박희경(4년) 최슬기(4년)팀(지도교수 이정수)이 지난 11월 4일부터 6일까지 경북 경주시 화백컨벤션센터(HICO)에서개최된 2020년 한국방사선산업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에서 포스터 부문 우수논문발표상을 수상했다.-이날 정진주 학생 등 4명이 발표한 논문은 해양 나노셀룰로오스를 이용한고성능 슈퍼커패시터용 다공성 다층 탄소 나노구조체 제작에 관한 연구 논문이다.이 논문에서는 기존에 진행되어 온 연구의 범위를 응용단계까지 확장하여고기능성의 소재 합성을 연구하였다.
2021.01.26
-
학생수상 소식무역학과김근우 이시영대학생 FTA활용 학술대회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경상대학 무역학과 재학생들이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고KOTRA가 주최한 2020년 대학생 FTA 활용 학술대회 에서 FTA의소비자물가 하락효과에 관한 연구로 최우수상(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을 수상했다.-11월 21일에 열린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무역학과 전공 김근우, 이시영 학생 팀이참가하여 한국의 FTA 수입활용이 소비자물가 변동에 미치는 효과 분석 이라는연구의 결과를 발표했다.무역학과 팀은 FTA의 물가효과를 체감하기 어렵다는 소비자들의 비판이 존재하는상황에서 FTA의 소비자물가 하락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FTA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현실적인 정책 방안을 제시하여심사위원으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이날 지도교수인 무역학과 김석민 교수도 지역 FTA 교육네트워크를 구축하고전문인력 양성하여 FTA 활용과 확산에 크게 이바지한 공로를 인정받아산업통상부장관 표창을 받는 영예를 안았다.
2021.01.26
-
학생수상 소식원자력공학과이진옥 이상현 오상원드림 AI 딥레이서 대회자율주행 분야 1위공과대학 원자력공학과 이진옥, 이상현, 오상원 학생으로 구성된 응답하라 1997 팀(지도교수 나인섭)이지난 12월 5일 광주과학기술원에서 열린 꿈꾸는 아이 AI 경진대회 시즌 1 에서자율주행 분야 1위에 올랐다.- 꿈꾸는 아이 AI 경진대회 시즌 1 은 엔비디아(NVIDIA), 인텔(Intel), 아마존 웹서비스(AWS),LG전자, CJ올리브네트웍스, 한국광기술원 등 국내외 IT관련 대기업 및 기관이실무현장의 플랫폼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문제를 제시하고 참가자들이 문제를 해결하는 경진대회이다.- 응답하라 1997 팀은 이번 대회 자율주행분야에 인공지능(AI)기술인 강화학습 기술을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 자율주행 에 적용하여 출전했다. 응답하라 1997 팀이 개발한 자율주행 기술은 높은 평가를 받아 34개 팀 중 1위에 선정됐다.이와 더불어 드론분야 팀과 함께 진행한 모빌리티 분야에서도종합 2위를 수상하며 상금 850만 원과 상장을 받았다.
2021.01.26
-
학생수상 소식기계시스템 미래자동차공학과석사과정 이명규제12회 소방산업대상소방청장상기계시스템 미래자동차공학과 석사과정(연소공학 전공)에 재학 중인이명규 대학원생(지도교수 박설현)이 최근 소방청이 발표한 제12회 소방산업대상 에서 학술연구부문 소방청장상을 수상했다.-소방청이 주최하고 한국 소방산업기술원이 주관하는 소방산업대상 은소방산업 분야의 첨단기술과 제품 연구개발, 상용화에 기여한 우수기술인 및기업(단체)을 발굴함으로써 소방산업의 발전에 기여한 사람에게 시상하는 상이다.시상식은 지난 10월 22일 소방청에서 진행됐다.-이명규 학생은 Douglas-fir 목재 화염전파실험의 FDS 전산 해석 이라는 주제로 논문을 발표하였다.이번 연구는 Douglas-fir목재의 열적 두께가 실물화재에 미치는 연소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수행됐다.Douglasfir 목재는 건축자재, 가구재, 계단 등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목재로,이번 연구는 소방산업 분야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21.01.26
-
학생수상 소식기계공학과석사과정 김성근한국가시화정보학회 학술대회우수논문상 수상공과대학 기계공학과 석사과정에 재학 중인 김성근 학생(지도교수 정성용)이지난 11월 5일부터 6일까지 조선대학교에서 개최된 2020년도 한국가시화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 에서 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김성근 학생은 저온 환경에서 LP EGR 사용시 발생하는 인터쿨러 응축수 발생량 예측 이라는 주제로 논문을 발표하였다.김성근 학생은 상용 중인 차량의 인터쿨러 Fin 형상을 바탕으로 Ansys Fluent와 FENSAP 해석을 통해변수에 따라 인터쿨러에서 발생하는 응축수 발생량을 확인하고,그 원인을 조사하는 연구를 진행했다.디젤 엔진 차량의 LP EGR 사용 시 발생되는 응축수는 차량 엔진의 손상 등차량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는 디젤 엔진 연구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이날 김성근 학생의 지도교수인 정성용 교수도 이번 학술대회의 조직위원장으로 활동하며 학술대회 개최에힘쓴 공로를 인정받아 한국가시화정보학회로부터 공로상을 수상했다.
2021.01.26
-
학생수상 소식첨단소재공학과석사과정 안경빈 박사과정 이주희한국부식방식학회 대한금속재료학회학술대회 우수상첨단소재공학과 석사과정에 재학 중인 안경빈 학생은 지난 11월 12일부터 13일까지 온라인으로 개최된 한국부식방식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대회 에서 적층가공 Ti-6Al-4V 합금의 부식에 미치는인공 타액 내 불소 이온의 영향 에 대한 연구 발표로 포스터발표 우수상을 수상했다.-안경빈 학생은 10월 28일부터 30일까지 온라인으로 개최된 2020년도 대한금속재료학회 추계학술대회 에서도우수상을 수상한 바 있다.-또한 같은 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이주희 학생도 지난 10월 28일부터 30일까지 온라인으로 개최된 대한금속재료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대회 에서 학생구두발표 우수상을 받았다.이주희 학생은 레이저피닝 처리된 티타늄 및 Ti-6Al-4V 합금의 부식 거동 에 대한연구 결과를 발표해 우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2021.01.26
-
학생수상 소식치과재료학교실석사과정 김현준한국부식방식학회 학술대회포스터 우수논문상치과재료학교실 김현준 대학원생(지도교수 최한철)이 11월 12일부터 13일까지 온라인으로 개최된 2020년 한국부식방식학회 추계학술대회 에서 포스터 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다.-김현준 학생은 이번 학술대회에서 중소벤처기업부의 산 학 연 Collabo R D 사업(2020collabo)으로 수행한 치과용 Ni-Ti File의 내식성에 미치는 코팅 처리의 영향 을 발표하여 포스터 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다.이 논문은 치과 신경치료에 사용되는 전동식 치과용 Ni-Ti File의 피로 파절 저항성을 개선하기 위해표면처리를 행하고, 신경치료시 사용되는 세정액에서 전기화학적인 평가를 통해그 세정액이 피로파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피로파절수명을 예측하는 연구이다.이번 연구는 BPC(주)와 공동으로 2단계로 나뉘어 추진되는 사업으로, 조선대 치과재료학교실은기존 Ni-Ti파일 합금 표면에 다아몬드 구조를 코팅하여 유연성이 우수하고내마모와 내식성이 우수한 Ni-Ti파일을 개발해 나갈 예정이다.
2021.01.26
-
업무협약 소식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과 핵비확산 핵안보 분야 전문인재 양성 MOU조선대학교와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은 10월 8일 오후 2시 조선대학교 본관 2층 소회의실에서 핵비확산 핵안보 분야 교육인프라 구축 및 체계적 전문인력 양성 에 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협약 내용은 ▲국내 인력양성을 위해 교육과정 협력, 운영 ▲효과적 교육을 위한 핵비확산 핵안보 교육 프로그램 및 교재 개발▲핵비확산 핵안보 관련 공개정보 제공 및 전문가 지원 ▲전문인력 교육을 위한 국내외 세미나, 워크숍, 심포지엄의 개최 및핵비확산 핵안보 관련 기술 및 정책 연구개발의 공동 추진 등이다.
2021.01.26
-
업무협약 소식유탑그룹과 인재 양성 및 상호발전 위한 제휴 MOU조선대학교가 종합건설사인 유탑그룹과 인재 양성과 상호 발전을 위한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협약식은 10월 15일 오전 11시 30분 광주광역시 유탑 부티크 호텔 레지던스에서 진행됐다.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조선대학교와 유탑그룹은 건설 및 관광산업 분야 현장학습,멘토링 등 취업 연계형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지역인재 육성에 함께 나선다.아울러 유탑그룹은 조선대학교 구성원이 주관하는 학술대회나 세미나 장소,숙박 및 식당 등에 대해 호텔 할인혜택을 제공하여 상호 발전을 꾀한다.
2021.01.26
-
업무협약 소식(사)평동산단운영협의회와 산학협력 활성화 및 맞춤형 인재양성 MOU조선대학교는 사단법인 평동산업단지운영협의회와 산학협력 지원 활성화 및 현장실습 진행 등인재양성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협약식은 지난 19일 오전 11시 30분 조선대학교 본관 2층 소회의실에서 개최되었다.협력내용은 △정부 산학협력 지원 사업 공동참여 △경영자문 멘토링 및 네트워크 구축 지원△기관 보유 S/W 및 H/W 등 공동 활용 △맞춤형 인력양성을 위한 프로그램 및현장실습 운영 및 창업활성화 지원 등이다.
2021.01.26
-
업무협약 소식한화시스템(주)과 위성사업 분야 연구 및 개발 교류 MOU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은 지난 11월 24일 오전 11시 30분 조선대 본관 소회의실에서한화시스템(주)과 위성사업 분야에서의 긴밀한 협력을 약속하는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이번 협약으로 조선대학교와 한화시스템(주)은 위성사업 분야, 산업지원 및 육성 분야 등에서△연구 사업의 공동 발굴 및 수행 △인력 교류 및 인력 양성과 취업 △학술, 기술 및 정보 교류등을 함께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2021.01.26
-
업무협약 소식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와 문화예술분야 인재 양성 및 교류 MOU조선대학교는 10월 23일 본관 2층 소회의실에서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이번 업무협약은 양 기관이 인력, 지식, 시설 등의 교류 및 활용을 통해문화예술분야의 발전과 전문인력 양성 등 상호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마련됐다.-세부 협력내용은 △지역사회의 문화 예술 발전을 위한 상호협력 △ 연합회 회원기관 종사자의대학원 입학 지원에 관한 사항 △취업 및 인턴 과정 운영에 대한 상호협력 △기타 양 기관 공동발전에 필요한 인적 물적 교류 등이다.
2021.01.26
-
업무협약 소식프로배구팀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와 유소년배구팀 창단 MOU조선대학교는 11월 16일 오후 2시 본관 2층 소회의실에서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프로배구팀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이번 협약은 광주광역시 초 중학교 학생들의 체력증진 활동과 배구의 저변확대의 일환으로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가 운영하는 유소년 배구팀을 광주광역시에서창단하고 운영하기 위해 마련됐다.-조선대학교와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향후 광주광역시 초 중학생으로구성된 유소년 배구 팀을 12월부터 운영한다.조선대학교 교수진은 물론 현대캐피탈 프로 선수들이 조선대학교 체육관에서 유소년 선수들을 직접 지도하여신설 배구팀의 역량을 크게 향상시킬 예정이다.
2021.01.26
-
업무협약 소식(사)한국행정발전연구원과 지역산업발전 위한 정책개발 공동연구 MOU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은 사단법인 한국행정발전연구원과 지역산업발전을 위한 정책개발 및행정제도 개선 공동연구에 협력하는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협약식은 지난 11월 5일 조선대학교 본관 회의실에서 개최됐다.-이번 협약으로 양 기관은 지역산업발전을 위한 정책개발 및 행정제도개선의 공동연구 협력과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인력자원의 상호지원 교류, 업무와 관련된 학술정보의 교류 및공동사업 등을 적극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2021.01.26
-
업무협약 소식LINC+사업단 덴탈헬스케어지원센터 (주)아폴로니아 지역 덴탈 헬스케어 산업발전 및 사회공헌 MOU조선대학교 LINC+사업단은 12월 3일 (주)아폴로니아, 조선대학교 덴탈헬스케어지원센터와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지역 덴탈 헬스케어 산업발전을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했다.-㈜아폴로니아는 2020년 초부터 조선대학교 풀뿌리기업 육성사업 R D 에 참여하여 GingivaCare Dentistry를 위한 약품 및 장치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이번 협약으로 각 기관은 대학 지원센터 기업 간 네트워크를 구축하여구강질환 완화에 효과적인 천연치약을 출시하기 위해 시제품을 제작한다.-사업단은 제작된 시제품을 잇몸 일으키기 라는 이름으로 바이러스 등 다양한 환경적 위험에노출된 취약 소외계층에 무료로 제공할 예정이다.이번 나눔행사는 사회취약계층의 구강보건 향상과 더불어 제품 효과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마련했다.또한 이번 시제품 나눔행사를 시작으로 한 달간 전국을 돌면서 잇몸 일으키기 나눔 운동을 전개한다.
2021.01.26
-
업무협약 소식계명대학교와 '대학혁신을 위한 협력' 비대면 MOU조선대학교가 계명대학교와 12월 8일 대학혁신을 위한 상호협약을 체결했다.양교는 시대적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며 공동 성장과 발전을 위해 공동 노력하기로 약속했다.양교는 이번 협약을 통해 △대학혁신 정책 공유 및 확산 △핵심역량 기반 교육과정, 교수-학습 정보 상호 교환△정부 재정지원사업 추진 전략 및 성과 공유 △교수-학생의 학술 공동연구 및학술회의 공동 개최 △학생 참여 비교과 프로그램의 공동 설계 및 운영 △원격교육 관련 지식과 정보 교류△시설물의 상호 이용 등 상호 발전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이를 이행하기 위해 달빛(달구벌-빛고을) 미래 교육 워크숍 을 정기적으로 개최함으로써대학의 교육정책, 교육과정, 교육성과 등을 공유하고, 이와 함께 다양한 학생 중심의프로그램을 공동으로 계획, 운영하기로 했다.
2021.01.26
-
병원 소식복강경 위암 수술의 명의로 알려진 류성엽 교수가 조선대병원 위장관외과에 부임하여지난 10월 5일부터 진료를 시작했다.-류성엽 교수는 2,500례 이상 복강경 위암 수술을 집도하면서위의 절개를 최소화하는 수술법을 개발해 환자 만족도를 이끌어 내고 있다.-특히 2008년 국내 최초로 배꼽을 통해 위암, 위종양 수술을 시행하는 단일공(Single Port)복강경 수술을 시작한 류성엽 교수는 2007년 복강경 위 전절제술(total gastrectomy) 과2013년 조기위암의 단일공 위암 수술(single port gastrectomy) 을 국내 첫 라이브로 시연해 화제를 모았다.-류성엽 교수는 대한위암학회 우수논문발표상, 대한내시경복강경학회 우수연제학술상 우수구연상,대한외과학회 수술비디오 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한 바 있다.
2021.01.26
-
병원 소식수완센트럴병원 고길석 대표원장(조선의대 24회 졸업)이 조선대병원 신축을 위한 발전기금 1억 원을 기탁했다.-고길석 대표원장은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동문으로 수완센트럴병원 대표원장과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 외래교수를 역임하고 있다.-고길석 원장은 조선대학교 및 조선대학교병원의 발전을 위해 이번까지 3번에 걸쳐발전기금을 약정했다 면서 병원 신축을 통해 조선대학교 동문의 자긍심을 고취시켜더 나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란다 고 소감을 밝혔다.
2021.01.26
-
병원 소식조선대병원이 최근 방사선 이용기관 안전관리 강화사업 에 선정됐다.이번 사업선정으로 한국원자력안전재단은 조선대병원에 안전장비 등을 지원하게 된다.-조선대병원은 방사선량률 측정기, 휴대용 방사능오염측정기, 방사선지역감시지스템 등각종 방호 용품을 지원받아 핵의학검사팀 대기실과 체내검사실, 방사선종양학과 치료실 등에 설치하는 등환자들을 위한 방사선 안전관리를 강화한다.-하정민 조선대병원 핵의학과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보다 더 안전한 환경에서방사선 치료가 실시될 수 있도록 피폭저감화 방침에 적극 나서겠다 고 밝혔다.
2021.01.26
-
병원 소식조선대병원은 최근 감염병 관리시설 운영관리 부문 보건복지부 장관상을 수상했다.-보건복지부는 공중보건위기 시 감염병 관리시설 활용 등 가용 자원 동원이 가능하도록감염병 관리시설 운영관리에 기여한 기관을 발굴해 포상하고 있다.-조선대병원은 2019년도 감염병 관리시설 평가 결과 우수한 시설 운영 및관리 실적과 환자 격리 입원치료에 적극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광주 전남 권역에서 유일하게 수상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지난 2015년 메르스 사태 이후 국가지정 음압입원치료병상을 조기에 구축하고매년 모의 훈련을 실시하며 대응력을 길러온 조선대병원은 현재 코로나19 환자 발생 시격리 병상의 상시 가동을 위한 대비 태세를 갖춤으로써광주 전남 지역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해 오고 있다.
2021.01.26
-
병원 소식조선대병원은 11월 10일 광주광역시와 광주 의료 헬스케어산업 혁신 도약을 위한 업무협약 을 체결했다.-협약식에는 광주광역시를 비롯해 조선대학교, 전남대학교, 광주과학기술원,광주보건대학교, 조선대학교병원, 조선대학교치과병원, 전남대학교병원, 전남대학교치과병원,광주보훈병원, 광주테크노파크, 한국산업단지공단 광주전남지역본부,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광주연구개발특구본부,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 등 지역의료산업분야 핵심기관장들이 모두 참여했다.-광주광역시와 지역 13개 기관은 의료 헬스케어산업을 광주의 미래 성장 동력산업으로키우기 위한 국가 첨단의료복합단지를 유치하는 데 공동 협력하기로 했다.이날 협약 기관은 관련 기업 육성, 창업지원, 전문인력 양성, 연구시설 장비 공동 활용, 정보교류 등을 적극 추진한다.
2021.01.26
-
병원 소식조선대병원이 최근 코로나19 등의 감염병 예방 및 원내 방문객 불편 해소를 위해 키오스크 문진 시스템 을 도입했다.-키오스크 문진 시스템은 기존 문진(서면문진표)의 출입 대기시간 증가에 따른 불편을 해소하고,코로나19로부터 안전한 문진을 진행하기 위해 도입됐으며, 방문자가 원내 출입 시,키오스크에 간단한 인적사항 및 건강상태를 입력해 문진표를 1분 이내로 받을 수 있게 되었다.-조선대병원은 키오스크 문진 시스템과 기존에 도입한 모바일 사전 문진 을 동시에 사용해내원객의 편의성 증대와 함께 직원들의 업무 효율성도 높이고 있다.
2021.01.26
-
병원 소식조선대병원은 지난 11월 29일 코로나19 확진을 받은 임신부(39주)의 분만을성공적으로 수행하여 지역사회의 관심을 받았다.이번 분만을 위해 조선대병원 의료진은 대응회의를 개최했으며,감염 노출을 줄이기 위해 최소 인력을 수술실에 투입하기로 결정했다.병원은 이 산모의 제왕절개수술에 앞서 수술실 15개 모두를 비우고 방역소독을 실시하였다.이후 방호복을 착용한 의료진이 제왕절개수술을 진행해 29일 3.88kg의 건강한 남아가 태어났다.-병원은 해당 신생아가 산모로부터 코로나바이러스의 수직 감염이 될 것을 우려했으나,신생아를 대상으로 세 차례에 걸친 검사 결과 최종 음성판정이 나왔다.-수술을 집도한 산부인과 유현주 교수는 수술을 시행하는 게 쉽지 않았지만,동료 의료진의 도움으로 성공적으로 끝낼 수 있었다 면서 무엇보다도 아이와 산모가 모두 건강해 기쁘다 고 소감을 전했다.
2021.01.26
-
병원 소식조선대학교병원이 호남지역 최초로 대한최소침습척추학회(Korean Minimally Invasive Spine Surgery Society, KOMISS) 척추내시경수술 국제교육센터 지정병원으로 선정됐다.- 척추내시경수술 은 병변 부위 디스크까지 내시경을 이용하여 직접 접근한 후탈출된 디스크를 제거하거나 인공디스크를 삽입하여 골유합술 등을 시행하는 수술로,국내외적으로 효용성과 안정성이 입증된 수술기법이다.-수술 부위의 근육 손상 및 통증이 적고 회복이 빨라 조기퇴원이 가능하며,고령자나 만성질환자들도 비교적 안전하게 허리 수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그러나 척추내시경수술의 기술적인 진입 장벽이 높아, 숙련되지 못한 의사가 시행할 경우심각한 수술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척추내시경수술 인증의를 교육하고수련을 시킬 수 있는 교육센터가 필요하다.-이번에 국제교육센터로 선정된 조선대병원은 2007년 척추치료만을 전담하는 척추센터 를 개소했으며, 신경외과를 비롯해 정형외과, 재활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 등척추치료 전문 교수진이 긴밀한 협업을 통해 환자에게 가장 좋은 치료법을 제시함으로써높은 만족도를 이끌어내고 있다.-특히 주창일 교수, 김비오 교수 팀은 2006년부터 현재까지 약 2,000례 수술을 수행하였으며,내시경 척추수술(최소침습), 척추종양, 척추변형(척추측만증),선천성 척추기형 분야의 전문의로 왕성한 활동을 해 나가고 있다.
2021.01.26
-
병원 소식 조선대병원 박선희 약사가 지난 11월 7일 서울 서초구 대한약사회관에서 열린 2020년도 병원약사대회 에서 대한약사회장 표창 을 수상하였다.한국병원약사회는 약사의 권익 신장과 위상 강화에기여한 회원을 엄격하고 공정한 심사를 거쳐 대한약사회장 표창 을 수상한다.
2021.01.26
-
병원 소식 조선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박상학 교수가 11월21일 무등의림상 학술상을 수상했다.무등의림상은 광주광역시의사회가 매년 광주의사의 날을 맞이하여광주지역의 의료 및 학술 분야에 공헌한 의사에게 수여하는 상이다.-박상학 교수는 1989년 조선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로 임용된 이래의과대학장, 정신과장 및 정신과 주임교수 등을 역임하면서교육과정 개발, 교육 환경개선을 적극 추친하며 유능한 전문의 양성 등에공헌한 점을 높이 평가받은 것으로 알려졌다.-또한 사회교육을 위해 여성의 전화, 생명의 전화 여성발전센터 다문화 가정 상담 전문가를 위한교육을 하였고, 초대 광주광역시 자살 예방센터장을 역임하면서자살예방사업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했다.
2021.01.26
-
병원 소식조선대병원 감염내과 서준원 교수가 지난 11월 20일 2020년도 대한에이즈학회 젊은 연구자상 을 수상했다.- 젊은 연구자상 은 대한에이즈학회에서 국내 HIV/AIDS 연구 활성화와연구자들의 학술연구 의욕을 고취시키기 위해 수여하는 상이다.-서준원 교수는 2020년 대한감염학회 대한항균요법학회학술지 Infection Chemotherapy 에 HIV 양성환자에게 투여하는 테노포비르 디소프록실 푸마르산염(TDF)을테노포비르 알라페나미드 푸마르산염(TAF)으로 변경한 후 나타나는 신장독성의 변화 를주제로 한 논문을 발표해 수상했다.-이 논문에서는 TDF를 치료제로 사용하는 한국인 HIV양성환자에게서테노포비르 유발 신장독성이 흔히 관찰되었지만,TAF로 치료 약제를 변경한 후로 TDF 치료제 사용 이전의 수준으로 신장기능이 회복되는 경향을 확인했다.또한 TAF 치료 약제는 테노포비르에 의한 신장독성을 가진 HIV 양성 환자에게안전하게 투여될 수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2021.01.26
-
병원소식 조선대병원 간담췌외과 최남규 교수(장기이식센터장)는 12월 22일 한국장기조직기증원으로부터 생명나눔 공로상 을 수상했다.-생명나눔 공로상은 장기기증 활성화에 도움을 주고 생명 나눔의 가치를 실천한 의료인에게 수여된다.최 교수가 이끌고 있는 조선대병원 장기이식센터는 1999년 7월 광주,전남 최초로 간이식 수술 성공을 시작으로 2014년 11월에는 충청, 호남 최초로소아 간이식 수술에 성공하였으며, 2017년 10월에는 호남 최초로 신장이식 기증자전과정 복강경 수술에 성공하는 등 장기기증의 가치를 제고하고활성화하는 것에 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최남규 교수는 앞으로 환자들에게 더 많은 이식의 기회가 제공되어 새로운 삶을 살 수 있도록장기기증 활성화에 최선을 다하겠다 라고 밝혔다.
2021.01.26
-
병원소식조선대학교 치과대학과 치과병원은 10월 29일 전남산림자원연구소와 전남지역 산림자원을 활용한고부가가치 창출과 지역산업 발전을 위해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이번 협약으로 양측은 산림자원을 소재로 산업화 플랫폼 기반 구축과 관련된연구를 추진하며 연구장비, 정보교류 및 연구활동 지원 등을 협력하기로 했다.-협약의 세부적인 내용은 △천연물 소재 관련 정보교류 및 공동연구△플랫폼 기반 구축 연구 관련 전문가 교류 △각종 연구장비 및 시설의 상호 이용 협조 등이다.
2021.01.26
-
병원 소식 조선대학교치과병원 치주과 최인오, 강경민, 구민영 전공의(지도교수 김병옥 교수,유상준 교수, 이원표 교수)가 대한치주과학회 제60회 종합학술대회에서 임상 포스터발표(최우수상, 우수상)및 임상 구연발표(우수상)에서 수상하면서 관련 기관 중에서 최다 수상자를 배출했다.-대한치주과학회는 1960년에 설립되어 2,000여 명의 회원이 있으며,SCI급 학술지(Journal of periodontal implant science;JPIS)를 보유한국내 최고의 학회 중 하나로 이번 학술대회는 11월 7일에 개최됐다.-강경민 전공의(R3)의 발표 제목은 Vestibuloplasty around teeth and dental implants using simplified periosteal fenestration(sPF): Case Reports 이다.구강 전정이 얕아 치태 조절이 어려운 환자 증례에서 비교적 간단한 방법을 고안하여 치태 조절이용이하게 되는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이번 연구는 창의성을 높이 평가받아 최우수상에 선정됐다.-최인오 전공의(R3)의 발표 제목은 Immediate Implant Placement in Extraction Sockets without Sutures, Bone grafts or Barriermembranes using Silicone Sheet: Case Reports 이며, 발치 후 즉시 임플란트 식립에서 실리콘 시트를 이용한 증례로새로운 방법을 소개했다.이 발표는 많은 심사위원으로부터 관심을 끌며 우수상을 수상했다.-구민영 전공의(R2)의 발표 제목은 Root Coverage on Lower Anterior Teeth Using Vestibular Incision Subperiosteal TunnelAccess and Partially Deepithelialized Connective Tissue Graft 로,구강 전정부부터 수직으로 절개하여 터널링으로 접근하는 방법과부분적으로 탈상피화한 결합조직 이식편을 이용하는 방법을 합쳐 더 쉽고 예지성 있는 하악 전치부 치근피개술 결과를 얻은 임상 연구이다.역시 심사위원들의 호평을 받으며 우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2021.01.25
-
의료 칼럼 유방 통증이 있으면 유방암을 걱정해야 할까요?조선대병원 내분비외과 김유석 교수유방 통증 자체는 유방암과 관련이 없지만 증상이 발생한 경우유방전문의의 진찰과 유방사진촬영, 초음파 등이 필요합니다.유방암 환자 중 낮긴 하지만 약 4~5%정도에서 유방통증을 호소하기 때문입니다.-2017년 국가암등록 통계에 따르면 유방암은 우리나라 여성에게 가장많이 발생하는 암입니다. 많은 분들이 유방암에 관심을 가지고건강 검진 또한 활발하게 시행하고 있습니다. 유방에 나타날 수 있는 많은 증상중의 하나로 유방통증을 들 수 있습니다.유방통증이 생기는 경우 많은 분들이 혹시 암이 아닐까 걱정하며 병원을 찾게 됩니다.-일반적으로 유방암은 통증이 없이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물론 암이 많이 진행한 경우에는 통증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지만,실제로 한국유방암학회에서 시행하고 있는 유방암 등록사업의 통계를 살펴보면유방암인 경우 가장 흔한 증상은 만져지는 유방의 혹이나 혹은 아무런증상이 없이 건강검진을 하다가 우연히 발견한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합니다.유방통증으로 검사를 하다가 발견된 경우는 전체 유방암 환자의 4.5% 정도에 불과합니다.-유방통증은 예전에는 성격이 예민하고 조급한 여성들에게서 생길 수 있는 정신신경학적인 증상으로 잘못 알려져 왔습니다.현재는 생리적인 여성 호르몬 변화에 따른 유방의 과민반응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다시 말해 유방통증은 병이라기보다는 생리적인 현상으로 보는 것이 맞습니다.-정상적으로도 많은 여성들이 생리 주기에 따라 특히 생리 전에 나타나는 호르몬 변화의 영향으로유방의 통증을 느끼기 때문에 어느 정도 이상의 통증을 병적인 것으로 판단해야 하는지 애매할 때가 많습니다.실제로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의 90%는 증상이 가볍고 일시적이며저절로 통증이 없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나머지 10% 정도의 환자만이통증이 1주일 이상 지속되거나 생활에 불편을 느끼는데, 이럴 경우에는유방클리닉 등을 통해 평가 후 약물 치료를 해야합니다.-유방통증의 원인으로는 카페인, 지방질이 많은 식이 등이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일반적으로 우리 몸의 여성 호르몬 불균형이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실제로 대부분의 유방 통증이 월경 주기에 따라 같이 변화하는 점과폐경이 되면 자연히 통증이 없어지는 점 등으로 미루어체내의 여성 호르몬의 변화가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그 외에 위장약이나 혈압약, 신경안정제 같은 약을 복용하거나 스트레스로인해서 통증이 오기도 합니다.-유방 통증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주기적 통증과 비주기적통증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주기적인 통증은 대부분 생리 전에 가장 심하다가 생리가 시작되면 감소하며평균 한달에 5일 정도, 양쪽이 다 아픈 것이 일반적인 증상이지만 한쪽만 아픈 경우도 있습니다.거의 대부분의 유방 통증이 여기에 해당되며 아픈 부분을 정확히 가리키기 힘들지만대개는 유두를 중심으로 바깥쪽과 위쪽에 통증을 많이 느끼며심한 경우 겨드랑이와 팔끝까지 통증이 전달되기도 합니다.이러한 주기적인 통증은 30대 여성에게 흔히 나타나며임신이나 경구피임약 복용 시에 통증이 감소하기도 합니다.-이에 반해 비주기적인 통증은 생리 주기에 관계없이 불규칙하게 나타나며주기적인 통증에 비해 드문 편입니다.대부분 원인이 불분명한 경우가 많습니다.40대 이후에 주로 많이 나타나고, 폐경 후에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대개는 한쪽 유방에만 나타나며 통증 부위를 명확하게 지적할 수 있고 예리하게 칼로 찌르는 것 같다 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이러한 비주기적인 통증을 느낄 때는 유방암을 감별하기 위해 유방 전문의의 진찰이 필요합니다.-정리해 보면 대부분의 유방 통증 자체는 유방암과 관련이 없지만 증상이발생한 경우 유방전문의의 진찰과 유방사진촬영, 초음파 등은 필요합니다.유방암 환자 중 낮긴 하지만 약 4~5%정도에서 유방통증을 호소하기 때문입니다.유방통증이 발생할 경우 너무 두려워하지 말고 유방 전문의를 찾아 진료를 받으십시오.
2021.01.25
-
중앙도서관 소식조선대학교 중앙도서관은 최근 호남대학교 학술정보원과 공동으로 온택트(ontact) 저자 초청 강연회 를 개최해 주목을 받았다. 온택트(ontact) 저자 초청 강연회 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최초 대학도서관 공유모델 프로젝트로 기획됐다.첫 번째 강의는 11월 27일 호남대학교에서 열렸다.이날 강연회에서는 KTV 뉴스 앵커 유용화 박사가 AI시대의 정치를 조명하다 : AI시대의 정치는 어떻게? 라는 주제로정치에서의 공감의 의미와 AI의 역할에 대하여 다루었다.뒤이어 한동대 이재영 교수는 AI시대의 창의성을 조명하다 : AI시대의 창의적 사고란? 이라는 주제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창의적 사고의 중요성에 대하여 강조하였다.두 번째 강연은 12월 8일에 개최됐다.이날 강연은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인 고삼석 박사와 성균관대 최재붕 교수를 초청, AI 시대의 저자들의 기술을 듣다 라는 주제로 진행됐다.고삼석 박사는 완전히 새로운 미래가 온다 : 5G 초연결사회 라는 강의를 통해 4차 산업혁명과 5G 상용화로 인하여달라진 새로운 미래 사회의 변화와 대응 방향을 이야기했다.또한 포노 사피엔스 의 저자 성균관대 최재붕 교수는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도래한포노 사피엔스 시대의 특징과 성공 전략, 인재상에 대해 강조했다.Youtube를 통하여 온라인으로 실시간 중계되었으며, 약 200여 명이 참여하였다.최한철 도서관장은 이번 온택트 저자 초청강연회를 통하여 코로나19로 외부활동이 제약된대학 구성원들에게 질 높은 강연을 제공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 며 앞으로도 비대면 방식의 다양한 독서문화프로그램을 제공하겠다 고 말했다.
2021.01.25
-
중앙도서관 소식 중앙도서관은 취업학생처 대학일자리센터와 연계하여 독서토론클럽회원들을 대상으로 독서 토론과 글쓰기 교육을 통한 학생 학습 및 취업역량 강화 프로그램 Book으로 통하는 Job월드 를 운영하여 총 6개팀 58명이 수료했다. Book으로 통하는 Job월드 는 학생들로 구성된 팀들이 포스트 트루스 , 2021 트렌드 코리아 중 한 권을 택하여 읽고, 토론하고,논술문을 써보는 과정을 통하여 독서, 의사소통, 글쓰기 역량은 물론 취업 역량까지 키울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프로그램은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하여 대면과 Zoom을 이용한 비대면 방식으로 운영하였다.
2021.01.25
-
중앙도서관 소식조선대학교 중앙도서관 학술정보지원팀 정현희 과장이 지난 11월 26일 2020년 대학라이선스 및 핵심전자저널 협상단 표창(한국교육학술정보원장상) 을 수상했다.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은 대학도서관 전자정보 공동활용을 통한대학 교육 지원 및 국가 연구경쟁력 확보를 위해 교육부와 함께 대학라이선스 사업(대학라이선스 협상단)을추진 중이며, 대학 간 정보격차 해소 및 연구역량 강화에 기여한협상단 소속 기관 전문가를 표창하고 있다.정현희 과장은 MLA International Bibliography(계속구독품목)을 갱신하고, Brill Journal Collection(신규구독품목)을 도입하는 데기여한 점을 인정받아 이번 표창을 수상했다.
2021.01.25
-
대표이미지">
중앙도서관 소식중앙도서관은 2020년 코로나19 상황에서도 학업과 취업을 위해 열심히 공부한 재학생에게작은 위안을 주고자 산타WEEK 이벤트를 마련했다.12월 16일부터 24일까지 7일간 중앙도서관에서 30권의 도서(e-book 포함, 도서 7권 이상)를 대출한 후 이용자서비스센터에서 인증,인증 확인서 제시하면 산타 선물 보따리에서 무작위로 뽑아 선물을 제공했다.2021.01.25
-
조선대학교 언어교육원 2021 1학기 강좌개설 강좌영어, 중국어, 일본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독일어 회화TOEIC, TOEIC Speaking, OPIc수강기간2021년 3월 2일 ~ 4월 26일 (강좌별 상이)온라인 수강신청2021년 2월 15일 ~ 3월 1일 (조선대학교 언어교육원 홈페이지)방문 수강신청2021년 2월 15일 ~ 선착순등록 및 결제국제관 4층 언어교육지원팀 방문 (카드결제)또는 계좌이체 (004-107-498225 광주은행 언어교육원)레벨 테스트영어회화 신규 수강자 필수 (토익, 토스, 오픽, 제2외국어, 기존 수강자 제외),일정 추후 홈페이지 공지수강료 할인우리 대학 재학생, 휴학생, 교직원, 산하 기관 교직원, 다과목 신청 할인 등전화 문의062) 230-6675~6겨울학기 수강기간2021년 1월 4일 ~ 2월 23일 (강좌별 상이)이외의 수업정보는 언어교육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1.01.25
-
지역인재의 산실 '황금추관'전남매일신문 조기철 부장수도권 대학과 지방대학 간 격차가 다양한 지표 등에서 점점 더 심화되고 있다.수도권에 인적 물적 자원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적 기회가기형적으로 집중됨에 따라 지역경제가 위축되고 지역 균형발전에 장애가 되고 있다.-외국에서는 지역 대학이 수십만 명의 시민들을 먹여 살리는 사례를 흔히 볼 수 있다.대학이 지역의 중요한 경제주체라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대학이 경쟁력을 갖고발전할 수 있도록 지역 공동체가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지역 대학들도 담장을 허물고 지역민들과 공존하는 공간을 조성하고,사회교육원과 평생교육원을 통해 지역 주민의 교육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다.-한국의 지역 대학들도 외국의 우수사례를 벤치마킹하여지역과 상생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특히, 지역의 기업들과 긴밀한 네트워크 구축 및 산학협력을 통해지역경제 발전과 맞춤형 인재 양성에 노력하고 있다.-대표적인 예시로 호남 지역 법조인재 스쿨의 대명사인조선대 고시원인 황금추관이 있다. 황금추관은 올해 개관 15주년을 맞이했다.조선대학교 고시원인 황금추관은 지난 2005년 5월 (주)동광건설의황금추 회장이 조선대학교에 약 20억 원을 투입해 건립,지역 인재 양성을 위해 무상으로 학교에 기증했다.-조선대학교는 올해 황금추관 개관 15주년을 맞아 약 3억 원의 예산을 투입,내부공사를 진행했다. 공사를 통해 2인 1실, 88명 규모에서 1인 1실 49명으로재정비했으며 개인실별 냉난방기, 열람실 등 편의시설을 대폭 현대화했다.-특히, 황금추관은 건물 뒤로 숲이 우거진 산책로가 있고, 앞에는대학 전체의 캠퍼스와 시내 전경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어 학생들이 학업에 집중하고미래의 호연지기를 키우는 최적의 장소가 되고 있다.-그동안 이성렬 대법관, 이돈명 인권변호사 등 굵직한 법조인을 배출해 온조선대 법과대학은 검증된 교육역량으로 황금추관에 입주한예비 법조인들의 학습을 지원하고 있다.이를 통해 조선대 법대는 법학전문대학원, 변호사시험 합격 등법조계 진출뿐만 아니라 공인회계사, 세무사, 관세사, 노무사 등다양한 전문직 진출자를 배출하고 있다.-이들은 경제계, 금융계, 학계, 관계 등 각계각층에서 리더로 활약하고 있다.-대학은 학생 개인의 취업 성공을 위해 존재하지 않는다.대학이 키워내야 하는 것은 주변의 이웃과 공동체를 위해 헌신하는 리더, 창의적인 인재이다.-지역의 일자리 인프라 부족과 학업 등을 이유로 더 이상 지역을 빠져나가지 않도록하기 위해서는 지역 공동체와 지역 대학의 지속적인 성장정책이 해법이라는 사실에 별다른 이견이 없다.-지역의 기업과 대학이 함께 탄생시킨 황금추관은 조선대 학생들이다른 사람과 함께하는 삶을 경험하는 중요한 기회를 제공하고 창의적 인성교육의 터전으로 활용되고 있다.앞으로도 한국 사회를 이끌어나갈 인재를 양성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2021.01.25
-
지역 대학이 키운 인재가 지역을 키운다전라남도교육청 장학사 조기성학령인구의 급격한 감소로 인한 대학의 위기는 어제오늘만의 이야기가 아니다.이로 인해 최근 대학들은 신입생을 대상으로 장학금과 더불어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는 등 신입생 모집에 사활을 걸고 있다.-2021학년도 대입 모집정원은 49만 655명이다.하지만 고3 학생과 재수생 등을 합한 입학가능 자원은 47만 9376명으로신입생 모집 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대학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또한 2025학년도 입시에서는 입학가능 자원이 37만 6128명으로 감소한다고 한다.앞으로 이 같은 현상이 더욱 심해질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정부의 대학구조조정 정책이 참여정부 이후 이어지고 있다.더 큰 문제는 구조조정 정책의 결과에도 수도권 주요 대학은 크게흔들리지 않는 방면 지방대학의 경우 신입생 미등록 규모가 커지고합격선이 하락하면서 정부의 구조조정 역풍이 지방대학에 집중되고 있다는 것이다.-게다가 지난해 발표한 대입공정성강화 방안 중 수도권 주요 대학에서지방학생을 선발하는 취지의 지역균형선발전형 확대 방침은 이같은 현상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다.이로 인해 지방대학의 경우 지역균형선발전형과 지역인재전형 간의 취지가 상충되는 문제로지역인재전형이 그 힘을 잃을 수 있다.-이 같은 여건 속에서 지역대학 발전에 기반한 지역사회 발전을 유도하기 위해서는우수한 신입생을 지역 대학으로 유치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지역사회 발전 거점으로서 우수한 인재양성에 기반한 지역사회 발전을 유도해야 할 것이다.-이를 위해 대학은 입학전형에서는 지역인재전형을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현재 지역인재전형을 실시하는 지방대학 중 선호도가 높은 학과의 경우 타 지역 학생들의 입학 비중이 크다.하지만 문제는 타 지역 학생들이 우리 지역 대학을 졸업하면 자신들의 출신 지역이나 수도권으로 유출된다는 것이다.우리 지역의 우수 인재를 우리 지역에 유치하여 졸업 후 지역사회에 봉사할 수 있도록입학 기회를 확대하는 것이 지역인재전형 활성화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다.대학은 전형 설계 단계에서부터 지역인재전형을 더욱 확대하고,지역의 교육여건을 정확하게 분석하여 우리 지역의 우수한 학생들이입학에 유리하도록 설계해야 한다.-대학과 지역사회와의 연계 강화도 필요하다.이는 대학이 중심이 되어 지역인재를 양성함과 동시에 지역사회에 대한 사회적 책무를 다하는 길이 될 것이다.그 대표적인 예로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 사업 과 지역혁신플랫폼 사업(RIS) 을 들 수 있다. 고교교육 기여 대학 지원사업 을 통해 대학의 우수한 자원을 활용하여중등교육의 정상화는 물론, 대학의 인지도 및 경쟁력을 키울 수 있다.또한 올해 에너지 신산업, 미래형 운송기기를 핵심 분야로 하여 교육부로부터 선정된 지역혁신플랫폼 사업 등을 통해 지역사회와 중등교육기관의 발전에 기여함과 동시에 대학을 특화시키고 경쟁력을 키워나갈 수 있을 것이다.
2021.01.22
-
참변 일어난 어린이비보호구역신문방송학과 2학년 최윤진내가 사는 아파트 단지 내가 사는 아파트 단지 맞은편 아파트 단지 인근 무신호 횡단보도에서화물차가 보행자 일가족 4명을 치는 큰 사고가 일어났다.-더욱 안타까운 것은 유모차에 타고 있던 만 두 살짜리 아이가 숨진 일이었다.어린이집 바로 앞에서 일어난 사고여서 더 믿기 어려운 소식이었다.이 사고를 다룬 언론들은 앞다퉈 참변을 당했다 는 말을 사용했다.정말 참변이라는 말로밖에 설명되지 않는 사고에 나는 괜스레 마음이 찡해졌다.오전 일찍 등교할 때마다 보는 횡단보도 옆 펜스에 걸린 국화와 어린이집 아이들의 추모 편지에 익숙해지기란 당분간 어려울 것 같다.-어린이집이 있어서 아이들의 통행이 잦은 이곳은 어린이보호구역(스쿨존)으로서 민식이법 이라고 익히 알려진 특정범죄가중처벌법이 적용되는 곳이다.그러나 과거부터 이곳엔 보행자가 다치는 등의 여러 사건 사고가 잦았고,나 또한 빠른 속도로 달리는 차들이 무서워서 신호등이 있는 사거리까지 내려가 길을 항상 건넜다.-작년 민식이법 발의와 관련해 티브이 뉴스에서 한참 떠들어댔지만나는 내 일이 아니라며 채널을 돌리곤 했다. 그런데 초등학생 때부터 산 동네에서,그것도 집과 불과 3분도 떨어지지 않은 곳에서 일어난 사고에 나는 그 법의 필요성을 직접 체감할 수 있었다.그러나 지난 4월, 민식이법 을 개정해 달라는 청와대 국민청원에 32만 명이 동의하는 등많은 사람들이 그 법의 부당함을 주장했다.-현재까지도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는 민식이법 은 크게 도로교통법 개정안과특정범죄가중처벌법 등에 관한 개정안으로 나뉜다. 민식이법 중 특정범죄가중처벌법은 어린이보호구역 내에서 13세 미만어린이를 치어 사망하게 한 경우, 그 운전자를 무기 또는 3년 이상의 징역에 처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또한, 피해자가 상해를 입으면 1년 이상 15년 이하의 징역이나500만 원 이상 3,000만 원 이하 벌금형에 처한다.이에 대해 일부 운전자들은 주의 의무를 다하며 운전해도 갑자기 아이들이 튀어나오면 사실상 대비할 수 없어서주의 의무를 다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토로한다.게다가 가중처벌까지 받을 수 있으니 형평에 어긋난다는 것이다.-1995년 처음 지정된 어린이보호구역은 초등학교 저학년생이었던내가 격주로 토요일마다 학교에 가야 했던 과거에도 존재했다.토요일엔 학교에서 점심을 먹자마자 하교를 했고, 집에 가기 위해선학교 주변 곳곳에 있는 횡단보도를 건너야 했다.하지만 평일 오후보다 주말 점심 시간대의 교통량이 월등히 많을 수밖에 없었고,현재 또 제한속도 30km/h가 잘 지켜지지 않는데, 그때라고 달랐을리 없다.-주말을 보내고 월요일 학교에 갈 때면 3~4개월에 한 번꼴로 팔이나 다리에깁스를 한 반 친구들이 있었다. 파란불로 바뀌어 횡단보도를 건너고 있는데차가 멈춰 서지 않아서 놀라 쓰러진 친구, 심지어 부모님과 함께 횡단보도를건너다가 다친 친구도 있었다. 다행히 반에서 목숨을 잃는다든지치명상을 입을 정도의 교통사고를 당한 친구는 없었다.하지만 초등학교를 졸업하기 전까지도 어린이보호구역인 학교 앞 횡단보도에서 교통사고를 당해입원하는 친구들이 꾸준히 있었다.- 민식이법 이 시행된 지 7개월이 지났지만, 어린이보호구역으로 지정되지 못한 초등학교들이 많다.그리고 법 시행 자체에 대한 일부 운전자들의 불만 또한 여전하다.무엇에 맞장구를 쳐줘야 할까.일단 나의 생각은 이렇다.언론인을 꿈꾸며 주류보다 비주류의 이야기를 쓰고 싶었고 사회의 강자보다 약자의 이야기를 듣고 싶었다.이젠 여러분이 생각하고 고민할 차례다.끝으로 이달 17일 안타까운 사고로 목숨을 잃은 고인의 명복을 빈다.
2021.01.22
-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출신인 웰스유외과 정희석 원장이 지난 10월 7일후학양성을 위한 장학금으로 발전기금 3,000만 원을 모교에 기탁했다.조선대학교 의과대학에 1992년 입학하여 졸업, 조선대학교병원에서외과전문의를 수료했다. 정 원장은 광주보훈병원 외과 부장을 거쳐 현재광주 서구 웰스유외과 원장으로 일하고 있다. 또한 장애인 탁구협회의무등급 분류 호남권 위원으로도 활동 중이다.정 원장은 이날 기탁된 장학금에 부친의 이름을 붙여 정남채 장학금 으로 명명했다. 정남채 장학금 은 5년간 매년 6명의 장학생(의학과 3명,타 전공 3명)을 선발하여 100만 원의 장학금을 지원할 예정이다.
2021.01.22
-
임순이 삼성생명 명예사업부장(상무)이 10월 12일 조선대학교에 학생 장학금 2,000만 원을 기탁했다.임순이 상무는 조선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경영학부 겸임교수를 역임하는 등 조선대학교와의 인연이 깊다.그는 1995년 삼성생명에 입사하여 삼성생명 연도대상 수상, MDRT(Million Dollar Round Table, 보험계약 100만 달러 이상)회원 등의 성과를 거두었으며,1억 이상의 기부자를 이르는 광주사회복지공동모금회 아너소사이어티 회원,대한적십자사 레드크로스 아너스클럽 회원으로 활발한 기부활동을 하고 있다.임순이 상무는 대한적십자사를 통해 조선대학교 경상대학 및 조선라이프아카데미 참여 학생들의장학금을 기탁했다. 기탁식은 지난 10월 12일 오전 11시 30분 본관 2층 소회의실에서 개최됐다.
2021.01.22
-
전갑수 광주시 배구협회장이 배구부를 육성하고 있는 조선대학교에 체육학과 발전기금 2,000만 원을 기탁했다.기탁식은 21일 오전 11시 30분 총장실에서 개최됐다.전갑수 회장은 2015년 광주시 배구협회 12대 회장으로 취임해 소외계층 배구인 격려,초 중 고 대학 배구팀 육성 등 지역 배구의 발전을 위해 헌신해 왔다.전 회장은 이날 조선대학교 배구부 육성 지원 및 체육학과 발전을 위해2,000만 원의 기금을 전달했다. 전 회장은 지난 2014년과 2018년에도배구부 인재 양성 지원을 위한 발전기금을 기탁한 바 있다.전갑수 회장은 청소년 시절 장흥 대표 배구선수로 활동하면서 체육과인연을 맺었다. 출향 후 두봉실업과 백양실업을 창업하여 기업인으로도성공한 전 회장은 특히 백양실업의 직원 채용에 장애인들을 우선 선발하여 지역 기업인들 사이에서 귀감이 되고 있다.
2021.01.22
-
2018년 조선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을 졸업하고 이듬해 효치과의원을 개원한 서재석 원장이치과의사로 제2의 인생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도움을 준 은사와 모교를 위해 발전기금 500만 원을 기부했다.기부식은 지난 11월 12일 총장실에서 열렸다.서 원장은 타대학 학부생 시절 의학 및 치의학 관련 전공자가 아니었지만, 치과의사가 되고 싶다는 꿈을품고 2014년 조선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에 문을 두드려 입학하게 되면서 꿈을 이루게 됐다.그는 치과의사라는 꿈을 이룰 수 있게 많은 지원을 해 준 학교와 은사님들에 대한감사함을 갖고 살다가 최근 기부를 실천해야겠다고 결심했다 고 말했다.
2021.01.22
-
-